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논문은 하버마스의 예술 공론장과 단토의 이론을 발전시킨 디키의 예술계 개념과 관련된 문제를 비판적으로 비교분석하는 데 있다. 예술 공론장과 예술계는 사적 영역과 공적영역, 주체적 공중과 상대적으로 수동적인 예술대중, 예술의 안과 밖과 ‘안’에 한정이라는 차이를 보여준다. 예술 공론장의 자율성은 하버마스가 말하는 바와 달리 제한적이다. 예술공론장의 붕괴는 예술 민주주의의 시발점으로 다르게 해석 가능하다. ‘하버마스의 논의는 근대적 예술계의 총체적 행위주체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예술계는 새로운 전문화된 다른 형식의 예술 공론장의 성립으로 평가된다. 디키의 사회학적 시각이 배제된 ‘예술계’ 개념은 일면적인 분석에 빠지기 쉽다. 새로운 형식의 온오프 예술 공론장은 하버마스, 단토, 디키의 이론의 수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오늘날의 예술 공론장과 예술계에 대한 논의는 하버마스와 단토 및 디키의 관점과 방법론을 유기적으로 결합할 때 좀 더 이론 생산적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Dicky"s notion of artworld that develops Habermas"s concept of public sphere and Danto"s theory of art. We can find a limitation of inside in Public sphere and artworld that belongs to both inside and outside of art between "private sphere and public sphere" and "subjective public and relative passive the public of artmass" Unlikely Harmers"s notion of the public sphere of art, it has been limited to reality. The collapse of public sphere of art could be interpreted as the beginning of art-democracy. In Habermas"s theory of art, the analysis of all the actor in modern artworld should be added. Then, the artworld will be considered as different specialized form. I argue that Dicky"s notion of artworld excludes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as such it easily falls into the analysis of only a particular feature of the artworld, rather than all the features of the artworld that we need to consider The new type of on-off public sphere that I want to develop proposes that Habermas"s, Danto"s and Dicky"s theories of artword needs to be corrected. Therefore, the recent discussions of public sphere and artworld can be more theory-productive, only when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s and methodologies from Habermas, Dicky, and Danto are intimately connected.

목차

[한글 요약]
Ⅰ. 들어가면서
Ⅱ. 문예공론장과 예술 공론장
Ⅲ. 예술에 대한 비전문가 판단의 제도화와 예술의 공론장
Ⅳ 문예적 공론장과 예술 공론장의 붕괴
Ⅴ. 예술 공론장에서의 예술과 단토와 디키에서의 예술개념
Ⅵ. 예술 공론장의 공중과 예술계의 대중
Ⅶ. 새로운 예술 공론장과 예술대중
Ⅷ. 나오면서
참고 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105-001163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