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10%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6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논문을 통해 우리는 리쾨르 철학에서 프로이트의 현존(présence)을 확인하고 이것이 리쾨르 철학의 중요한 국면들에서 어떤 영향을 끼쳐 왔는지를 찾아보고 확인하는 작업을 하려고 한다. 리쾨르 철학의 관점에서 보면 프로이트 담론은 ‘현상학의 해석학적 변형’이고자 하는 리쾨르 자신의 마지막 철학적 단계에서 결정적 역할을 하는 방향타라고 볼 수 있다. 리쾨르를 현대 해석학을 대표하는 인물로 자리매김하는 데 핵심적인 내용을 제공해준 담론 역시 프로이트의 담론일 것이다. 물론 여전히 기술현상학의 틀과 한계 내에서 움직이고 있는 『의지의 철학 I』과 『해석에 대하여: 프로이트에 관한 시론』 사이의 결정적 차이는 “반성”이 일종의 해석학이어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반성에 철저히 연계된 해석학적 방법”을 가져오는 데 있어 그가 프로이트 담론에 의존하고 기대었다는 것이다. 욕망의 선재성, 사유에 대한 ‘sum’의 선재성을 프로이트 담론이 설득력 있게 드러내는 이상, 반성은 그런 (욕망하는) 삶의 기호들을 해석하는 프로이트 담론을 만나지 않고 피해 가는 방법은 없었다. 리쾨르에게 프로이트는 필연적인 우회(détour)의 길이었다. 현상학적 철학의 한계와 근대적 반성철학의 전통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는 데 프로이트 담론의 독창적인 기여를 인정하는 차원이라고 보는 게 정확할 것이다. 리쾨르 철학의 긴 여정 속에서 1950년 전후에 프로이트 담론은 (기술현상학이라는) 제한된 관점과 전망 속에서 처음으로 도입되고, 1965년을 전후하여 확장되며 변형된 (해석학적) 대면과 도전의 차원에서 논의되며, 1990년 전후해 2008년까지는 이전의 도입과 대면의 지점을 넘어 충분히 성숙하여 침윤되어 그의 철학 안에 내면화되는 지점에 도달하게 되었다.

Let us attempt to identify Freud"s presence within Ricoeur"s philosophy and reveal its influence on the important aspects of Ricoeur’s philosophy. From a Ricoeurian point of view, the Freudian discourse is a rudder, that aims to be a “hermeneutical transformation of phenomenology" while playing a critical role in the final stage of Ricoeur’s philosophy. The Freudian discourse is what provided the key for Ricoeur’s establishment as a representative figure of modern hermeneutics. Of course, there is a decisive difference between the two books - Freedom and nature and Freud and Philosophy. The difference is that while they both reside within the confines and limits of descriptive phenomenology, Ricoeur claims the “reflection" needs to be a kind of hermeneutics. In that sense, Ricoeur was dependent on the Freudian discourse. As long as the Freudian discourse reveals the pre-existing nature of desire and ‘sum’ of thought, “reflection” cannot escape the confrontation of the Freudian discourse that interprets symbols of life. For Ricoeur, Freud was an inevitable détour. That does not mean, however, that an adventure and challenge such as including the Freudian psychoanalysis as a subconcept of a more comprehensive hermeneutics. This is a common misunderstanding of the Ricoeur-Freud relationship. Rather, it would be fair to recognize the Freudian discourse’s original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a new era to the limits of phenomenological philosophy and the traditions of modern philosophy on reflection. Ricoeur’s long philosophical journey can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Around 1950, the Freudian discourse was first introduced within the limited perspectives and prospects of descriptive phenomenology. Around 1965, it is expanded and widely discussed as a transformed hermeneutical challenge. Around 1990 and up to 2008, the Freudian discourse grows beyond the introduction and challenges, to the point where it infiltrates and internalizes within Ricoeur’s own philosophy.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 프로이트의 현존(présence)
2. 리쾨르 철학의 출발, 성장, 지향점 그리고 프로이트 담론의 수용
3. 나가는 말: 프로이트의 흔적-내면화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132-001440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