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배교자’에서 시작하여 ‘최초의 근대적 유대인’, 심지어 ‘시오니즘의 선구자’에 이르기까지, 유대인 스피노자는 역사 속에서 다양한 형상 아래 평가되어 왔다. 이 다양한 평가들의 바탕에는 신학정치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유대교 분석이 있다. 이 글에서 나는 스피노자의 유대교 분석의 목표가 무엇인지를 분명히하는 가운데 유대교에 대한 그의 입장을 밝히고자 한다. 스피노자는 우선 당대나 후대의 ‘반유대주의’의 모든 논거를 제시했다고 평가될 만큼, 예언, 선민사상, 의례 등 유대교의 특수성을 이루는 요소들에 대해 실로 가차없는 비판을 가하고 있다. 이 비판은 유대교를 폄하하고 기독교를 편드는 것으로, 혹은 종교 일반을 철학(이성)이나 자유주의 정치에 복속시키려는 우회적 수단으로 평가되어 왔다. 우리는 이런 평가들을 일면적이라고 보고, 보다 온전한 평가를 위해 스피노자가 신앙의 본질로 간주한 복종의 의미를 고찰한다. 이로부터 우리는 스피노자가 이성의 관점에서 인정하는 종교 고유의 적극적 역할과 더불어 유대교의 장점을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유대교에 대한 스피노자 진술에 나타나는 비일관성이 이 측면을 통해 볼 때 어떻게 해소되는지 보여준다.

Spinoza has appeared under various figures in Jewish history: from an apostate to the first emancipated modern Jew and even the pioneer of Zionism. At the bottom of these evaluations lies Spinoza’s analysis of Judaism, which occupies most of his Tractatus Theologico-Politicus. In this paper, I try to clarify what Spinoza aims at with his analysis of Judaism. On the one hand, Spinoza ruthlessly criticizes the elements peculiar to Judaism, such as prophecy, the doctrine of God’s chosen people, ceremonies etc. This harsh critique of Judaism has been considered to be expressive of either Spinoza’s self-hatred as a Jew and his taking the side of Christianity, or his intention to subordinate religion in general to philosophy or liberal politics. I point out the one-sidedness of these opinions and pay attention to the positive role of religion recognized by Spinoza,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e significance of obedience which he regarded as the essence of faith. Judaism then turns out to be the most prominent religion for encouraging obedience. Finally, I show how the apparent inconsistency of Spinoza’s statements about Judaism can be resolved.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며
2. 스피노자의 유대교 비판과 그 지향점
3. 종교의 본질과 유대교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5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105-000053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