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훈민정음’은 일제강점기 이후 일본 제국에 저항할 수 있는, 민족적 자부심이 담긴 대표적인 유산으로 여겨왔다. 그리고 그러한 인식은 19세기 말∼20세기 초의 지식인, 특히 국어학자들의 훈민정음에 대한 연구성과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
특히 ‘허웅’은 20세기 전반기의 국어학 연구나 언어에 대한 인식 등을 현재까지 잇는 중간 역할을 하였다는 측면에서 ‘허웅’의 훈민정음 인식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앞선 연구에서 주로 다루어 온 주시경, 권덕규, 김윤경, 최현배, 홍기문 등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허웅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이나 연구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그것은 허웅(1974가, 나)에서 볼 수 있듯이 그의 말과 글의 관계나, 한글전용과 같은 언어 정책에 대한 입장 등은 대부분 ‘훈민정음’ 특히 ‘어제서문’의 해석과 관련하여 설명되고 있어서 그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허웅은 학문에 대한 태도는 실증적이고 엄정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고 스스로도 그러한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훈민정음 서문의 해석에서는 앞선연구의 전통을 그대로 이어받아 실증적이고 비판적인 태도를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 연구에서는 그러한 허웅의 관점이 허웅의 학문적 태도에서 출발했다기보다는 훈민정음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 그만큼 맹목적인 부분이 있었기 때문이었음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허웅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은 『한글과 민족 문화』(1974ㄱ)에 선명히 나타나 있는데, 이외에도 『우리말과 글의 내일을 위하여』(1974), 『우리말과 글에 쏟아진 사랑』(1979), 「세종의 언어 정책과 국어 순화 정신」 (1980), 『이삭을 줍는 마음으로』(1981) 등에서도 그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위의 자료를 바탕으로 허웅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고자 한다.

Since the flowering period, ‘Hunminjeongeum’ has been understood as a representative heritage showing the pride of the people who oppose the Western modernity or resist the Japanese empire. In this process, it was natural that the research related to the Hunminjeongeum of intellectuals, especially Korean scholars, became the basis. So far, in the previous study, discussions about Hunminjeongeum such as Ju Si Kyung, Kwon Duk Kyu, Kim Yoon Kyung, Choi Hyun Bae, and Hong Gi Moon have been discussed to some extent. However, there is a need for this research in that the review of the ‘Hunminjeongeum’ by Mr. Huh has not been done yet.
As we can see in Huh Woong(1974, I)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words and writings, and the position of language policy, such as Hangul, are mostly explained in relation to the contents of ‘Hunminjeongeum’, especially ‘Preface’, which makes it more necessary to examine his perception of ‘Hunminjeongeum’. On the other hand, as discussed in Seo Min-jeong(2011), “Hunminjeongeum” and “Preface” were translated into the language of the 15th century (say) and translated into the language of the 20th century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material that reveals Huh Woong’s awareness of Hunminjeongeum is “Hangul and National Culture”(1974). Other than that, for the sake of Korean and Writing tomorrow (1974), Korean and Writing Love(1979), Sejong’s Language Policy and Korean Refinement Spirit(1980), Isaac’s Mind, etc.(1981), and the Korean and Korean Cultures(1974, Sejong University, and the Korean People’s Association(1974), The Korean language policy is also discussed, and the teacher’s recognition of the Hunminjeongeum can be said to be followed by the Korean language policy. Based on the above data,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Hunminjeongeum by Mr. Huh.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attitude of Huh Hung"s scholarship showed a different pattern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preface of Hunminjeongeum. And it was examined that such aspect did not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ituation of the times rather than the problem of attitude of Heung.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we should recognize that it is time to reinterpret and evaluate Hunminjeongeum.

목차

국문 초록
1. 머리말
2. 19세기 말∼20세기 초,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의 전환
3. 허웅 학문과 주시경, 최현배의 계승
4. 허웅의 ‘훈민정음’ 서문 번역과 한계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001-000448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