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은 우리 헌법 전문에 등장하는 ‘대한국민’의 주권적 의의를 헌법제정권력론 및 한나 아렌트의 논의에 비추어 살펴보고, 북한헌법에서 ‘조선인민’에 부여된 비주권적 위상을 조명한 다음, 통일헌법 제정의 주체가 될 하나된 국민의 주권적 면모를 전망하고자 한다. 우리 헌법 전문에서 대한국민은 스스로의 헌법제개정행위를 서술함으로써 헌법 본문에 대해 정당성을 보장한다. 헌법제정은 헌법제정권력이 단순한 사실적 힘의 차원을 벗어나 일정한 가치를 지향할 때 성립하며, 헌법제정행위는 그 자체가 공적 자유의 행사이다. 북한헌법의 특징은 주권적 국민의 실종과 역사적 맥락의 누락이다. 북한헌법에서 ‘조선인민’은 국가 주도적인 통제와 관리의 피동적인 객체로 설정된다. 통일헌법의 제정은 남북한 두 국민이 하나 된 국민이 되어 행하는 주권적 행위가 될 것이고, 특히 북한 주민들에게는 그 본래적 주권성과 역사성을 회복하여 보편적 헌법가치와 법원리의 구현에 참여하게 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sovereignty of the ‘We, the People of Korea’ in the Preamble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erms of constituent power theory and Hannah Arendt’s revolution analysis, secondly illuminates the non-sovereign status of the ‘Korean people’ in the North Korean Constitution, and lastly tries to delineate the sovereign aspects of the would-be unified people who will perform the mission of establishing the constitution of the unified Korea. The ‘We, the People of Korea’ endows the constitutional articles with legitimacy by way of self-narrating the action of establishing or amending the constitution. Establishment of constitution is itself a practice of political freedom, and constitution comes into existence when the constituent power is oriented to certain fundamental values beyond the de facto dimension of bare force. The North Korean Constitution can be characterized as deprivation of sovereignty of the people and as absence of real historical context. The ‘Korean people’ in the North Korean Constitution appears as very passive subject wholly controlled by the state.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titution of Unified Korea shall be the first sovereign action performed by the unified people, and especially give opportunity to the North Korean people of regaining their sovereign power and of retrieving the real historical context.

목차

요약문
1. 서언 : ‘열망의 헌법’
2. 헌법제개정의 주체로서의 ‘대한국민’
3. 헌법제정권력의 가치 지향성
4. 북한 헌법의 경우
5. 전망: 통일헌법의 제정과 국민주권성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105-001891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