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에서는 스토아사상에 관한 니체의 해석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그런데 해당되는 선행연구는 국내에 없다. 우리는 그 이유를 두 가지로 추측할 수 있다. 첫째는 스토아사상이 가지는 실천적 성격 때문이다. 자연학과 논리학에 집중되었던 초기 스토아사상과 달리, 중기 이후 스토아사상은 윤리학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한 특성은 스토아사상에 대한 평가절하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둘째는 스토아사상에 대한 니체의 모순적 해석에 그 이유가 있다. 예를 들면, 니체는 에픽테토스(Epictetus)를 가장 이상적인 인물로 묘사하기도 하고, 견인주의를 견지하며 인간의 고통이 가지는 값어치를 낮게 다루는 원흉으로 비판하기도 한다. 우선 니체는 그의 중기저작을 통해 스토아사상의 색채를 곳곳에서 드러내고 그것에 찬성한다. 먼저 그는 스토아사상의 자기치료 개념에 천착한다. 즉 스토아사상과 마찬가지로, ‘자기’에게 집중한 최초의 인물로 소크라테스(Socrates)를 지목하면서 철학과 의학의 연관성을 밝힌다. 다음으로 니체는 스토아사상과 마찬가지로 연민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그것을 대체하는 것으로 자족성을 내세운다. 이러한 자족성의 개념은 마지막으로 니체의 운명애(Amor Fati)논의로 이어지며, 니체는 운명애의 이론적 기저가 되는 영원회귀에 관한 것을 스토아사상으로부터 영향 받는다. 니체는 동시에 스토아사상에 대한 신랄한 비판도 서슴지 않는데, 니체의 비판을 대략 두 가지로 대별해 볼 수 있다. 첫째는 스토아사상의 견인주의가 인간의 고통이 가지는 가치를 평가 절하했다는 것이고, 둘째는 스토아사상이 가지는 목적론에 관한 비판이 그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토아사상에 대한 니체의 모순적 해석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것에 그 임무를 두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a deeper insight into Nietzsche’s interpretations of stoicism. Unfortunately, however, there aren’t other similar studies that have ever been locally made, to which this research can refer. Presumedly, there are two reasons why such prior works are not found. Of the two reasons, one is that stoicism itself came to have characteristics that were practice-oriented in nature over time. In more detail, stoicism in its early period focused on both physica and logics. Since its middle period, by the way, that philosophy concentrated itself onto ethics. These characteristic developments probably contributed to the devaluation of stoicism. The other reason is that Nietzsche’s interpretations of stoicism were contradictory. One one hand, for instance, Nietzsche depicts that Epictetus was the most ideal figure. But on the other hand, he blames the ancient philosopher of being none other than the very person who underestimated human pains sticking to asceticism that is based on stoicism. More specifically, above all, Nietzsche advocates stoicism by immersing the ideas of the ancient philosophy throughout writings that he made in the middle days of his life. As shown in the writings, Nietzsche focuses his lenses on so-called the concept of self-healing that is suggested by stoicism. In association, he attempts to clarify relationships between philosophy and medicine as he notes Socrates as the first figure to focus on ‘self’ like in stoicism. Furthermore, Nietzsche complies with stoicism by severely criticizing compassion and claiming that it should be substituted by self-containedness. Here, the concept of self-containedness leads to Nieztsche’s discussions of Amor Fati, that is, love of fate. Underlying those discussions is his theory of Ewige Wieder-Kunft or eternal recurrence, which was influenced by stoicism. Simultaneously, in contrast, Nietzsche doesn’t hesitate to severely criticize stoicism. The points of that criticism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One of the points is that asceticism, basically originated from stoicism, devalues human pains. And the other is that stoicism itself is defective from the perspective of teleology. The very intent of this study lies in identifying and revealing Nietzsche’s contradictory interpretations of stoicism as they are.

목차

한글 요약
Ⅰ. 머리말
Ⅱ. 스토아사상의 실천적 성격
Ⅲ. 니체의 스토아사상 해석 : 수용과 비판의 병치(竝置)
Ⅳ.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105-000120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