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파스칼 고티에의 『할머니들』을 중심으로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최근 들어 노년에 대한 고정관념과 문화적 통념에 도전하는 소설들이 속속 등장하여 베스트셀러가 되고 있는 것은 분명 새로운 현상이다. 노년에 대한 비극적 인식을 경쾌하고 유머러스하게 풀어감으로써 21세기 노년소설의 변화를 주도하는 작품들 가운데, 프랑스에서 대표적으로 거론되는 노년소설이 파스칼 고티에의 『할머니들』이다.
우리는 노년이라는 주제의 한계를 돌파하기 위한 저자의 서술전략이 실제로 『할머니들』에서 어떻게 구사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웃음’에 관한 베르그송의 이론적 틀을 『할머니들』의 분석에 차용하여, 소설이 독자의 웃음을 이끌어내는 방식을 ‘상황의 희극성’, ‘말의 희극성’, ‘인물의 희극성’의 순으로 검토하였다.

Depuis toujours, la question de la vieillesse dans la littérature était un ‘sujet interdit’. Cependant, il nous semble que le sujet n"est plus tabou ces derniers temps. En effet, à l"aube du XXIème siècle, de plus en plus de romans européens, surtout nordiques mettent en scène des personnes âgées sur le mode de l"humour et de la fantaisie. Loin des clichés, ces romans posent sur la vieillesse un regard stimulant et connaissent un réel succès.
En France, c"est le succès d"un roman de Pascale Gautier, Les Vieilles, paru en 2010, qui atteste de ce changement positif. Il nous paraît que la force du roman provient de sa façon d"aborder le sujet: même si ce roman ne tait pas l"isolement de la vieillesse ni les éventuels dégâts liés au vieillissement, il s"autorise l"humour et la légèreté.
C"est dans ces circonstances que, dans cet article, nous focalisons notre attention sur l"écriture comique des Vieilles. Ainsi, nous pouvons d"abord illustrer pas mal de traits dominants de la comédie dans ce roman. Ensuite, en montrant certains morceaux du roman comme exemple, nous examinons ses procédés de fabrication du comique, à partir du comique de situation jusqu"à celui de caractère en passant par celui de mots. Pour ce faire, nous nous appuyons sur les théories de H. Bergson, concernant le rire provoqué par le comique.
D"après les observations que nous venons de faire, nous pouvons dire que l"auteur des Vieilles mène à bien sa stratégie narrative: elle souhaiterait d"abord divertir son lecteur en lui suscitant le rire pour le pousser enfin à la réflexion sur la présence de quelque chose de plus profond que l"apparence de légèreté.

목차

국문 초록
1. 시작하는 말
2. 『할머니들』에서 본 ‘노년’의 희극적 글쓰기
3.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001-002049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