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 이승율 (경북대학교)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통일진~전한초기에 유가는 『주역』을 이용해 유가 최초로 두 세계관을 수립한다. 하나는 ‘도기론(道器論)’이고, 다른 하나는 ‘태극론(太極論)’이다. 이것을 담고 있는 현존 최고(最古)의 문헌이 바로 마왕퇴백서 『주역』 「계사」 편이다. 도기론은 형이상의 ‘도(道)’와 형이하의 ‘기(器)’라는 이부 세계관으로 구성돼 있다. 또 이것은 ①‘도’의 영역, ②‘건곤(乾坤)・변(變)・통(通)・상(象)’이라는 주역의 영역, ③‘기(器)’라는 만물의 영역, ④인간의 영역이라는 사부 구조로 돼 있다. 인간의 영역은 다시 ‘법’이라는 사회・정치의 영역과 ‘신(神)’이라는 주술·신앙의 영역으로 세분된다. ①은 형이상의 세계이고, ②·③·④는 형이하의 세계다. 여기서 문제는 도기론에서 형이상의 ‘도’의 세계와 형이하의 ‘기’의 세계는 존재론적으로 주재・피주재의 관계로 설정돼 있지만, 사부 구조 내에서 『주역』·만물·인간이라는 영역 간의 관계는 명확히 설정돼 있지 않고 파편화돼 있다는 점이다. 태극론은 사부 구조 중형이하의 세계에서 파편화되고 무관계한 것처럼 보이는 영역 간의 관계를 명확한 형태로 이어주면서, 합리와 비합리의 세계를 통합하기 위해 유가가 새롭게 고안한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From the unified Qin (秦) to the early western Han (漢) period, Confucianists used the Zhouyi (周易) to establish the first two Confucian worldviews. One is the “essay on dao and qi” (道器論) and the other is the “essay on taiji” (太極論). The oldest extant document containing it is, as is well known, the “Xici” (繫辭) Chapter of the Mawangdui (馬王堆) Zhouyi Silk Texts. The “essay on dao and qi” consists of a two-part worldview: the Way or dao as “that which is above forms” (形而上) and “implements” (qi) which are “those which are below forms” (形而下). It also has a four-part structure: (1) the realm of the Way, (2) the realm of the Zhouyi (qian kun 乾坤, bian 變, tong 通, xiang 象), (3) the realm of all things called “qi,” and (4) the realm of human beings. The realm of human beings is further subdivided into the social and political realm of “fa 法” and the magical and belief realm of “shen 神”. (1) is the world of “that which is above forms,” and (2), (3), and (4) are the world of “those which are below forms”. The problem here is that in the “essay on dao and qi,” the world of “that which is above forms” and the world of “those which are below forms” are set in an ontological relationship of presiding and being presided over, but within the four-part struc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ms of Zhouyi, all things, and human beings is not clearly defined but fragmented. The “essay on taiji” was probably newly devised by Confucianists to unify the reasonable and unreasonable worlds, while clearly connecting the various relationships between the seemingly fragmented and unrelated realms in the world of “those which are below forms” within the four-part structure.

목차

논문개요
Ⅰ. 머리말
Ⅱ. 선행연구 검토 및 문제의 소재
Ⅲ. 새로운 세계관의 수립: 도기론
Ⅳ. 새로운 세계관의 수립: 태극론
Ⅴ. 특정 영역의 생성에 특화된 생성론의 등장과 대업생성론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