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열반을 중심으로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우리는 출세간적인 행복에 해당하는 열반의 행복을 불교가 추구하는 가장 궁극적인 행복으로 받아들일 수 있으며, 이러한 열반 개념은 서양철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 개념에 상응하다고 볼 수 있다. 『열반경』에 따르면 불성이란 일체중생이 여래의 태아를 간직하고 있다는 뜻이며, 중생은 잠재적 여래로서, 성불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열반 성취의 주체가 곧 행복추구의 주체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열반과 불성의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아울러 모든 사람이 행복에 도달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대하여 일천제 개념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긍정적인 결론을 유도해 보고자 한다.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highest happiness in Buddhism consists in the realization of the nirvāṇa. The relation between the saṁsāra and the nirvāṇa in the Mahayana thought is a co-relation of the thorough negation and affirmation. In this point, Mahayana thought consists in the middle position which is not a being or not a nothing.
Speech affirming the aboriginal existence of Buddha-nature is a method that will encourage practice and thus contribute to the great end of liberating all sentient beings. No matter what condition one is in, one always has within oneself the possibility of turning around one’s condition by cultivating Buddhahood. Thus the tathāgata-garbha is a metaphor for the ability of all sentient beings to attain Buddhahood.
In Chinese Buddhism, before the translation of northern Nirvāṇa Sutra, Dao-sheng(道生) brought up an idea that the icchantika has Buddha-nature, and they also can become Buddha, which promote the spread and study of Nirvāṇa Sutra in China. He also argued that Buddha-nature is a priori possession or future possession, which is the important idea in his theory of Buddha-nature.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글
2. 대승불교의 열반에 대한 이해
3. 열반의 주체로서의 불성의 의미
4. 누구나 예외없이 성불할 수 있는가? : 세상에서 가장 불행한 인간, 일천제
5. 마치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3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