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는 프로선수의 스포츠맨십에 관한 연구 중 한 갈래이다. 프로선수의 스포츠맨십은 프로선수가 지향해야 할 자세 혹은 마음가짐을 뜻한다. 다만 그 개념이 추상적이기에 이를 하나로 규정화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렇기에 다양한 각도의 접근 또한 가능하다. 이 연구에서는 동양의 체용론(體用論)을 통해 이 문제를 풀이하고자 한다. 프로선수의 스포츠맨십은 선수의 올바른 태도 또는 양심으로 치환될 수 있다. 그것은 승리와 결과를 최우선으로 삼는 프로선수에게 있어 일종의 제어장치 역할을 할 수 있다. 프로선수는 기본적으로 승패와 결과를 무엇보다 중요하게 여기기에 자칫 목적을 위해 정도(正度)를 넘는 수단과 방법을 마련하기도 한다. 그렇기에 자기 스스로 행동의 기준을 세울 수 있는 제어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그렇다 해서 경기에 소홀하거나 승부를 포기해서는 안 된다. 이 때문에 경기장에서는 누구보다 프로선수로서 최선을 다하며 동시에 정도(正度)를 넘지 않는 스포츠맨십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때 프로선수로서 최선을 다하고자 하는 것이 프로선수 스포츠맨십의 용(用)이며 동시에 정도(正度)를 지키려 하는 태도가 체(體)다. 이 연구는 순자철학에서 체(體)를 한비자 철학에서 용(用)을 찾고자 했다. 이는 각각 순자의 교육과 한비자의 법(法)에서 그 근거를 찾는다. 특히 순자의 화성기위(化性起僞)와 한비자의 습상(習常)에 주목한다. 그 까닭은 전자는 개인의 자연적 욕망을 사회적 욕망으로 후자는 프로선수가 자신을 군주(君主)이자 신하(臣下)로 삼아 자기 통제를 통제한다는 형태로 풀이한다면 각각의 개념이 프로선수 스포츠맨십의 체용(體用)을 설명하기에 적절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프로선수 스포츠맨십의 체용(體用)의 적절한 사례로 펠레(Pele)를 그리고 부적절한 사례로 호날두( Ronaldo)를 들어 개념의 이해를 돕고자 했다.

This study is part of a study on the sportsmanship of professional athletes. The sportsmanship of a professional player means the attitude or mindset that a professional player should aim for. However, since the concept is abstract, it is impossible to define it as one. Therefore, various angles of approach are also possibl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olve this problem through the theory of 體用(tǐyòng). A professional athlete"s sportsmanship can be replaced by the athlete"s correct attitude or conscience. It can act as a kind of control for a professional player who puts victory and results first. Professional athletes basically value victory or defeat and results above all else, so they sometimes come up with means and methods that go beyond the set laws(正度) for their purposes. That is why a control device is needed to set standards for behavior on its own. However, you should not neglect the game or give up the game. For this reason, sportsmanship is required in the stadium to do their best as a professional athletes more than anyone else and at the same time do not exceed the set laws.
At this time, it is the 用(òng) of professional athlete sportsmanship that wants to do its best as a professional athlete, and at the same time, the attitude of trying to abide by the law is the 體(tǐ). This study sought to find 體(tǐ) in Sunja philosophy and 用(òng) in Hanbiza philosophy. This finds its basis in Sunja"s education and Hanbiza"s law, respectively. In particular, we pay attention to Sunja"s 化性起僞(huàxìngqǐwěi) and Hanbiza"s 習常(xícháng). This is because each concept is appropriate to explain 體用 (tǐyòng) of professional sportsmanship if the former interprets an individual"s natural desire as a social desire, and the latter in the form of self-control by a professional player using himself as a monarch and servant. And he tried to help understand the concept by citing Pele as an appropriate example of the 體用(tǐyòng) of professional sportsmanship and Ronaldo as an inappropriate case.

목차

한글요약
Ⅰ. 서론
Ⅱ. 순자 철학에 비춰본 프로선수의 스포츠맨십 體用論 : 體
Ⅱ. 한비자 철학에 비춰본 프로선수의 스포츠맨십 體容論 : 用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