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인간의 완전성과 행복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나는 이 연구에서 데카르트의 윤리학을 인간의 본성에 속하는 능력들의 완전한 사용을 통해 기쁨과 만족을 추구하는 삶에 대한 이론으로 해석하려 시도한다. 데카르트는 인간의 본성을 최고의 완전성으로 고양시키는 보편학문을 위한 철학적 기획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 기획은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윤리학을 포함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는 인간이 도달해야 할 완전성을 인간 본성에 속하는 모든 능력들의 완전한 사용으로 이해했으며 이 능력들의 완전한 사용이 정신의 만족감을 가져온다고 생각했다. 나는 이 논문에서, 최근의 여러 연구들과 달리, 데카르트의 행복 개념은 자유의지의 완전성 뿐 아니라 인간 본성에 속하는 다른 모든 능력들의 완전성을 원인으로 인정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라는 점을 주장한다. 이 테제를 뒷받침하기 위해 나는 데카르트가 행복을 “어떤 완전성(quelque perfection)”의 소유가 생산하는 정신의 만족감으로 정의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이 정의를 행복에 대한 그의 일반적 정의로 간주한다. 그에 의하면, 의지의 완전한 사용, 즉 덕에 따르는 만족감은 이 일반적 정의의 특수하며 동시에 탁월한 경우이며 정신이 가질 수 있는 최상의 만족감이다. 그러나 각 개인이 자신의 삶 전반에 걸쳐 추구하는 모든 선들의 획득은 자유의지 뿐 아니라 인간본성에 속하는 다른 여러 능력들 적합하고 완전한 사용 역시 요구한다. 이 선들의 획득에 필요한 능력들의 완전한 사용 역시, 데카르트의 행복에 대한 일반적 정의를 따르면, 행복을 가져다주는 원인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In this study, I try to interpret Descartes’s ethics as0 a theory of life that pursues pleasure and contentment by the perfect and best use of faculties that belong to the human nature. In Descartes’s philosophy, there is a general project to “elevate our nature to its highest degree of perfection”. And this project contains ethics that pursues happy life. He understood the perfection of the human being as the best and perfect use of our faculties and thought that it brings the contentment of spirit. In this paper, I argue, in contrast to the recent studies on Cartesian ethics, that Cartesian concept of happiness is a inclusive concept that considers as cause of happiness not only the perfection of the free will but also that of all the faculties that belong to the nature of the human being. To support this thesis, I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Descartes defined happiness as contentment of spirit that acquisition and possession of “certain perfection” produces. I consider this definition as his general definition of happiness. And the contentment that is caused by the best and perfect use of free will, that is to say virtue, is a particular and eminent case of this general definition of happiness, and is the supreme contentment that our spirit could have. But the acquisition of all the goodness that each individual seeks throughout his life demands the proper and best use of all the faculties that belong to our nature. The best use of our faculties also should be considered, following his general definition of happiness, as cause that produces happiness.

목차

요약문
1. 서론
2. 데카르트 철학과 인간의 완전성(hominis perfectio)
3. 자유의지의 완전성과 행복: 행복추구의 제일원리
4. 행복과 완전성들
5. 최고선의 두 가지 의미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