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자연학』 6권에서 “질문자에 충분한 답변”의 의의와 한계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제논의 운동 역설 중에서 반분 역설과 아킬레우스 역설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해결책은 『자연학』 6권과 8권 두 곳에 담겨있다. 그리고 두 답변을 그는 각각 ‘질문자에 충분한 답변’과 ‘진리에 충분한 답변’이라고 부른다. 대부분 철학사가들은 이 중에서 8권의 ‘진리에 충분한 답변’을 그의 최종적인 해결책으로 받아들인다. 이에 대해 논자는 몇 가지 근거를 들어 6권의 ‘질문자에 충분한 답변’이 8권의 답변과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이들이 간과하고 있는 6권 답변의 의의를 해명하고자 한다. 양자의 답변이 구분될 수 있음은, 다시 말해서 6권의 답변을 8권 입장의 미완성된 단계쯤으로 격하시켜서는 안 되는 까닭은 첫째 그가 ‘제논의 역설’을 오늘날의 온전한 형태로 소개하는 곳은 『자연학』 8권이 아닌 6권이며, 8권은 『자연학』의 구조상 독립적인 성격을 갖기 때문이다. 게다가 그의 ‘연속이론’이 제시되는 곳은 8권이 아니라 6권인데, 6권은 제논의 운동역설을 소개하고 해결하는 것에 거의 전체가 할애된 곳이기 때문이다. 이런 형식상의 이유 이외에 둘째로 내용에 있어서도 우선 8권의 답변은 가능적 무한과 현실적 무한의 구분을 전제하지만, 6권은 가능성/현실성 구분이 전제되지 않은 채로 답변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넓게 말해서 6권 전체가 주제적으로 다루는 그의 ‘연속’ 이론은 ‘가능성/현실성’ 구분과 “무관하게” 구성될 수 있고, 같은 맥락에서 6권의 답변은 이 구분을 전제한 8권의 답변이 담아내지 못하는 연속 이론을 포함한 그의 자연철학의 몇 가지 진면모를 확인할 수 있게 해 준다. 셋째로 제대로 된 답변이기 위해서는 제논의 입장에서 답변으로 인정할만한 이유가 있어야 하는데, 8권의 답변은 제논의 입장에서 하나의 해결책으로 받아들일 수가 없다. 그러니까 이상의 세 측면에서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자면, 그가 제논의 운동 역설을 어떻게 다루고 해결했는지는 6권에서 찾아야지, 8권만 가지고 결론을 내리는 것은 부당한 것으로 보인다.

Aristotle’s solution to the half-paradox and the Achilles paradox in Zenon’s motion paradoxes is contained in Physics Ⅵ and Ⅷ. And the two answers are called ‘enough answer to the questioner’ in Physics Ⅵ and ‘enough answer to the truth’ Physics Ⅷ. Most philosophers accept ‘enough answer to the truth’ as his final solution. In this regard, I argues that the answer in Physics Ⅵ can be composed independently of the answer in Physics Ⅷ, and I want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he answer in Physics Ⅵ that they overlook. The fact that the two answers can be distinguished, that is, the answer in Physics Ⅵ should not be downgraded to the unfinished stage of the answer in Physics Ⅷ, because the first place where he introduces the paradox of Zenon is the answer in Physics Ⅵ not the answer in Physics Ⅷ and the answer in Physics Ⅷ has an independent feature regarding of the structure of Aristotle’s natural sciences. In addition, his ‘continuum theory’ is presented in the answer in Physics Ⅵ, not Ⅷ, since the answer in Physics Ⅵ is almost entirely devoted to introducing and solving the movements paradox of Zenon. In addition to this formal reason, secondly, the contents of the answer in Physics Ⅷ presuppose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ossible infinite and the actual infinite, while the answer in Physics Ⅵ is answered without presuppositions of the distinction of possibility and actuality. Broadly speaking, his continuum theory, which is the subject of all the Physics Ⅵ, can be constructed ‘irrelevant’ to the distinction of two infinite and in the same context, the answer in Physics Ⅵ allows us to identify some aspects of his natural philosophy, including continuous theory that can not be put into account. Third, to be a proper answer, there must be a reason to admit it as an answer in the position of Zenon. But the answer in Physics Ⅷ is not acceptable as a solution in Zenon’s position. Thus, from a common sense in all three aspects, it is not right to draw conclusions with only the answer in Physics Ⅷ not with the answer in Physics Ⅵ, as to how to deal with Zenon’s motion paradoxes.

목차

【요약문】
1. 문제제기: 아리스토텔레스와 제논의 반분 역설
2. 『자연학』 6권 9장에서 제논 반분 역설의 단순한 구조
3. 『자연학』 6권 2장에서 제논 반분 역설의 복잡한 구조와 아리스토텔레스의 답변
4. 『자연학』 6권의 ‘질문자에 충분한 답변’에 대한 수정주의적 해석
5. 결론을 대신하며: ‘질문자에 충분한 답변’과 무한 분할의 완료 가능성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100-003101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