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칸트의 『윤리학 강의』를 통한 해명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칸트 윤리학에서 도덕이 종교를 필요로 하는지에 대해서 크게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첫째 해석은 칸트가 『도덕형이상학 기초놓기』나 『실천이성비판』과 같은 자신의 윤리학 저술에서 윤리학의 토대를 신이 아니라 인간 이성의 자율성에서 발견한 것을 근거로 칸트 윤리학을 세속적인 비종교적 윤리학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칸트 윤리학에 대한 다른 해석은 칸트가 『실천이성비판』 변증론에서 최고선의 실현 가능성 문제를 다루면서 최고선의 현세적 실현을 주장하는 에피쿠로스학파와 스토아학파의 윤리학을 비판하는 한편, 최고선의 내세적 실현을 주장하는 기독교 윤리학을 옹호하고 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칸트 윤리학을 종교적 윤리학으로 이해한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 많이 다루어지지는 않았지만 칸트 윤리학 연구를 위해 중요한 자료인 칸트의 『윤리학 강의』를 이용하여 칸트 윤리학 해석을 둘러싼 이 논란을 해결하려고 시도하였다. 자신의 다른 윤리학 저술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칸트는 『윤리학 강의』에서 무엇이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인지를 알기 위해서 신에 의존할 필요가 없음을 강조한다. 그러나 『윤리학 강의』에서 칸트는 도덕이 하나의 관념에 머무르지 않고 구속력을 갖기 위해서는, 도덕적 행위를 통해서 행복할 자격을 갖춘 사람이 실제로 행복을 희망할 수 있게 해주는 존재인 신에 대한 믿음이 필수적임을 동시에 강조한다. 우리가 칸트 윤리학을 이해할 때 도덕법의 근거가 신이 아니라 인간이성이라는 사실에만 초점을 맞춘다면 칸트 윤리학을 인간 중심의 세속적 윤리학으로 보는 것은 타당하다. 하지만 이러한 이해는 칸트 윤리학의 전체 모습이 아니라 일부만을 반영한 것임을 『윤리학 강의』를 통해 알 수 있다.

It is controversial whether in Kant’s ethics morality needs religion. According to one interpretation, Kant’s ethics can be seen as a non-religious, secular ethics because in his ethical writings such as Groundwork for the Metaphysics of Morals and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Kant finds the basis of morality not in God but in the autonomy of human reason.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interpretation, Kant’s ethics can be seen as a religious ethics, and this can be supported by the fact that in the Dialectic of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Kant defends Christian view of the possibility of the highest good but criticizes the Epicurean or Stoics’ secular conception of the highest good. In this paper I have attempted to provide a solution to this controversy by examining closely Kant’s view of the relation between morality and religion in his important but not well-known Lectures on Ethics. As in his other ethical writings, in this Lectures, too, Kant emphasizes that we do not need to rest on God to discover what moral laws are. But we should note that in the Lectures on Ethics Kant also emphasizes that without a belief in God, the moral laws become a mere idea which cannot bind us at all. According to Kant, if someone has so conducted himself as to be worthy of happiness, God can make him hope to achieve this. When we try to understand Kant’s ethics, if we pay attention only to the fact that moral laws are given by human reason not by God, of course, this can be a ground for interpreting Kant’s ethics as a non-religious, secular ethics. However, we can know from Kant’s Lectures on Ethics that this interpretation reflects only part of Kant’s ethics, but not the whole.

목차

【요약문】
1. 머리말
2. 『도덕형이상학 기초놓기』에 나타난 칸트 윤리학의 세속적 성격
3. 『실천이성비판』 변증론에 나타난 칸트 윤리학의 종교적 성격
4. 『윤리학 강의』를 통한 칸트 입장의 해명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