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은 칸트가 1792년 4월에 『베를린 월보』(Berlinische Monatsschrift)에 발표했으며, 1793년에 『순전한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의 제1편으로 출간한 「악의 원리가 선한 원리와 동거함에 대하여, 또는 인간 자연 본성에서의 근본악에 대하여」(이하 「근본악」)에 대한 하나의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다. 주지하다시피 「근본악」은 칸트의 실천철학과 관련하여 가장 흥미롭고도 문제적인 저작으로 간주된다. 특히 이 저작에서 칸트가 개진한 악의 근본성, 그리고 이를 가능케 하는 근거인 “선택의지의 자유”(Freiheit der Willkür)에 대한 이론이, “자율”(Autonomie)로 압축되는 그의 1780년대의 실천철학적 입장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의 문제는 칸트 연구에 있어 가장 뜨거운 쟁점 중 하나이다. 한편으로 많은 연구자들은 「근본악」에서 제시된 선택의지의 자유가 『실천이성비판』(1788)의 자율 개념과 모순됨을 강조한다(Ortwein(1983), Prauss(1983)). 이러한 해석에 반대하는 또 다른 한편에서는 「근본악」의 입장을 철저히 『실천이성비판』의 연장선에서 읽어내려 한다. 이 두 번째 입장에 따르면 「근본악」에서의 선택 의지의 자유는 『실천이성비판』(1788)의 자율 개념과 다른 새로운 어떠한 점도 내포하고 있지 않다(Bojanowski(2007)). 본 논문은 「근본악」에 대한 종래의 해석을 대표하는 이 두 가지 입장을 모두 비판한다. 본문의 첫 번째 장(2장)에서 필자는, 칸트가 「근본악」에서 제시하게 될 추동자담지자 간의 기능적 이원론이라는 체계 모델은 이미 『실천이성비판󰡕의 논의를 가능케 하는 이론적 지반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실천이성비판』과 「근본악」의 연속성을 드러내 보이고, 이를 근거로 종래 연구 중 첫 번째 입장의 부당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어지는 장(3장)에서는, 비록 추동자담지자의 기능적 이원론이 이미 『실천이성비판』의 이론적 지반으로 기능하지만, 이 체계 모델의 온전한 해명은 「근본악」에서 “선택의지의 자유”와 “인격성의 소질”이라는 개념을 제시함을 통해 비로소 이루어지게 된다는 점을 밝힌다. 나아가 이러한 새로운 개념을 통해 「근본악」에서 칸트는 비로소 도덕적 악의 가능성을 해명할 이론적인 실마리를 마련하게 됨을 본 논문은 밝히고자 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근본악」의 고유한 이론적 성취를 드러냄을 통해 본 논문은 종래 연구 중 두 번째 입장이 가지는 부당성을 밝히고자 한다. 아울러 추동자담지자의 기능적 이원론으로 표현될 수 있는 칸트 자유 이론의 면모가 「근본악」을 통해 비로소 온전히 드러나게 됨으로써, 그의 자유 이론이 가지는 문제의 핵심이 이 저작에서 표면으로 부상하게 된다는 점을 본 논문의 마지막 장(4장)에서 지적하고자 한다.

This study attempts a new interpretation of Kant’s 1792 essay, The bad principle existing alongside the good i.e. The radical evil in human nature(= The Radical Evil). As is well known, The Radical Evil is regarded as the most interesting and problematic work in relation to Kant’s moral philosophy. In particular, the question of how Kant’s freedom of choice, presented in the 1792, relates to the concept of freedom in his moral philosophical writings of the 1780s, so-called “autonomy”, is one of the hottest issues in Kant’s works. Many researchers stress that the freedom of choice presented in The Radical Evil contradicts the concept of autonomy in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On the other hand, against this interpretation, people try to read the position of The Radical Evil thoroughly as an extension of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According to this second position, the freedom of choice in The Radical Evil does not imply any new point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autonomy in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This Study aims to point out the one-sidedness of the two representative positions of conventional research by revealing, on the one hand, the continuity between The Radical Evil and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and on the other, the theoretical achievements of the former with respect to the latter.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실천이성비판』의 자유 개념: 추동자의 자유
3. ?근본악?의 자유 개념: 담지자의 자유
4. 나가는 말: 칸트 철학의 근간을 흔드는 문제적 개념으로서 인격성의 소질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