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개념분석의 방법들 - 연립방정식, 가설연역방법, 형식논리학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세상에는 대부분 사람들이 믿는 통념이지만 실은 근거 없는 그런 견해도 있다. 우리나라 역사에 대해서도 근거 없이 믿고 있는 잘못된 신념들이 있다. 철학자인 나로서는 그런 신념을 만나면 먼저 개념(용법)분석을 시도한다. 분석 도구는 수학(연립방정식의 결정-과소결정(부정)-과잉결정(불능)), 자연과학(가설연역방법), 논리학(모순관계, 포함관계) 이다. 분석한 개념은 “주(炷: 심지)”와 “산(蒜: 달래)”, 단군의 “수(壽)”, 주몽의 아버지인 “해모수”와 “단군”의 용법, “해모수”의 세 가지 용법, “신기대보(神器大寶)” 등이다. 이 개념들을 분석해 보면 고대 한국 왕들이 장생불사(長生不死)의 철학을 믿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역사기록에 등장하는 용어를 그 당대 용법으로 이해하려면 엄격한 학문연구방법이 필요하다. 역사를 연구할 때 좀 더 치밀한 연구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There are notions that many people believes in but has no scientific evidence. When we meet these beliefs what should we do? As a philosopher, I analyze concepts of words (usages) in history books. The tools I used to analyze them is mathematics (simultaneous equations, determinating equation: determination(solution) – overdetermination – underdetermination), natural science (hypothetico-deductive method), and logics (contradictory relation, inclusion relation). The concepts (usages) that were analyzed were “炷 wick” and “蒜 Allium monanthum (also known as Korean wild chive)”, Dangoon’s “壽 lifeline”, the usage of 朱蒙 Joomong’s 父 father’s title which is both “解慕漱 Haemosu” and “檀君 Dangoon”, usages of “Haemosu” as three persons, and “神器大寶 Singidaebo”(the spirit of the original monarchy never dies but continuously goes into the bodies of the next monarchies) If we analyze these concepts, we can see that the ancient Korean monarchies themselves believed in the philosophy of, ’長生不死 a long and immortal life.’ If you wish to understand the concepts of the words the way it was used in that time period, you need more thorough way of researching. Historians’ research method at this time has a fatal flaw because it’s not rigor enough. They need to reflect on the way we been doing the research.

목차

【요약문】
1. 서론
2. 역사 연구방법으로서 수학, 자연과학, 논리학의 가치
3. 역사 연구에서 연립방정식, 가설연역방법, 형식논리의 적용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100-000964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