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충암 김정은 정암 조광조와 더불어 기묘사화 때 희생된 사림파 인물로서 당대의 도학사상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이런 그가 유학사상 이외에 노장철학사상에 대해 관심을 갖고 심도있는 해석을 제시한 점은 학술적 가치가 매우 크다. 그럼에도 충암사상을 노장철학의 단일 입장에서 면밀하게 연구한 성과는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이 글은『충암집』에 나타난 노장철학사상과 관련한 여러 가지 내용들 가운데 특히 <노자출관도(老子出關圖)>와 <남곽자은궤도(南郭子隱几圖)>라는 그림을 보고 충암이 동명의 시작품으로 제시한「노자출관도」및「남곽자은궤도」에 나타난 노장철학의 사유세계를 구체적으로 검토해본 것이다.
충암은 두 그림 속에서 장자가 제시한 진인(眞人)의 모습을 확인하고, 노자를 진인으로 묘사함과 동시에 남곽자기 역시 진인으로 추정케 하는 언급을 남긴다. 이들 진인이 목표로 나아가는 공간적 배경은 신선도교적 성격을 띠고 있는 곤륜산인데, 충암은 노자와 남곽자기라는 진인이 궁극적으로는 신선의 반열에 도달함을 목표로 삼았다고 해석케 할 가능성을 남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궁극의 도에 도달해야 할 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을 잃어버리는 자기무화의 과정이 필요함을 역설한다.
충암이 본 두 그림 속 노장철학의 사유세계는 변화와 무(無)에 그 사상의 지반을 둔다. 이러한 사유로 인해 충암은 결정적으로 그림은 그림일 뿐 결국 실재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다. 노자와 남곽자기의 삶의 궤적보다 중요한 것은 지금-여기에서 숨 쉬고 있는, 나를 잊은 나 자신이라는 것이다. 이같은 충암의 노장철학 해석의 의의는 인간이라면 언제든지 그 노력 여하에 따라 진인과 신선이 될 수 있다고 하는 가능성을 열어놓았다는 점에서 찾아진다.

Along with Jeongam Jo Gwang-jo, Chungam Kim Jeong was a person of Confucian Scholars (士林) who was sacrificed in the Massacre of Scholars of the Year of the Hare (己卯士禍), and is a representative of the Moral Philosophy at the time. It is of great academic value that he was interested in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LaoZhuang in addition to Confucian thought and presented an in-depth interpretation. Nevertheless, there is no result of a thorough study of Chungam thought from the standpoint of LaoZhuang"s philosophy.
In this regard, among the various contents related to LaoZhuang"s philosophical thought appeared in Chungamjip (冲庵集), especially after looking at the paintings called Nojachulgwando and Namgwakjaeungwedo, this article is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thought world of LaoZhuang"s philosophy presented in Nojachulgwando and Namgwakjaeungwedo, which Chuangam presented as prototypes of the same name. Chungam confirms the appearance of a true man suggested by Zhuang-tzu in the two paintings, describes Lao-tzu as a true man, and at the same time leaves a mention that Nanguoziqi (南郭子綦) is also presumed to be a true man. The spatial background to which these true men advance toward their goal is Mount Kunlun, which has a Taoist character, Chungam leaves a possibility to interpret that Lao-tzu and Nanguoziqi, true men, ultimately aimed at reaching the ranks of Taoist hermits with miraculous powers. And for this, it is emphasized that not only must one reach the ultimate Tao, but also the process of getting rid of the self which one loses oneself is necessary.
The world of thought of LaoZhuang"s philosophy in the two paintings Chung-am saw is based on change and nothingness. For this reason, Choongam decisively emphasizes that a painting is only a painting and not the reality after all. What is more important than the lives of Lao-tzu and Nanguoziqi is that I am myself who has forgotten myself, breathing here and now. The significance of Chungam"s interpretation of LaoZhuang"s philosophy is found in that it opens up the possibility that a human being can become a true man or a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at any time depending on his or her efforts.

목차

한글요약
Ⅰ. 시작하는 말
Ⅱ. 『노자출관도』를 통해본 노자철학의 사유세계
Ⅲ. 『남곽자은궤도』를 통해본 장자철학의 사유세계
Ⅳ. 두 그림 속 노장철학적 이상인격의 공통지반
Ⅴ. 끝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2-2023-105-001721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