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기계번역 기술은 2010년대 중반부터 전세계적으로 급속하게 발전했으며, 국내에도 2018년을 기점으로 기계번역기가 일상생활에 자리잡기 시작했다. 이 기술의 발전은 외국어 학습의 필요성, 외국어 관련 학과의 존재이유와 목표에 대해 끊임없이 재고하도록 요구할 것이다. 현재의 전망으로는, 일반적인 정보 전달은 기계번역기 사용이 보편화될 것이고, 인간번역은 범위가 아주 축소되고, 매우 전문적인 영역에서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통 · 번역 관련 일을 하게 될 현재의 학생들은 고도의 외국어 숙달도와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야 한다. 또한 당장 통번역을 하지 않더라도 졸업 후 필요할 때 언제라도 프랑스어와 같은 제2 외국어를 사용하려는 전공자들은, 기계번역 결과를 수정할 수 있을 정도의 복원력이 강한 지식 구조를 갖춰야 한다.
본 연구는 성인의 외국어 학습에서 효율적으로 알려진 문법 지식에 주목하고, 국내 대학의 프랑스어 교수-학습 상황과 기계번역 기술의 발전방향을 충분히 고려한 문법의 교과과정을 제안했다. 그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거시적 관점에서 필수 교과목을 중심으로 선택 교과목을 나선형으로 배열함으로써, 수강하는 교과목의 수와 순서에 따른 모든 경우에 문법 지식을 점층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했다. 둘째, 미시적 관점에서는 각 교과목의 세부적인 교수-학습 내용 간 치밀한 연계성을 기획하여, 교과과정의 확장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셋째, 암기에 기반한 학습과 평가를 지양하고, 전자사전 등 검색 프로그램과 기계번역 기술을 적극적으로 교수-학습 과정과 성취도 평가에 활용하는 방법론의 적용 원칙을 제안했다.

Machine translation (hereafter, MT) technology has developed rapidly around the world since the mid-2010s, and Korean users are now using MT applications/software on their online devices in daily life, especially since 2018. The development of MT technology increases skeptism about the need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and requires to revisit constantly the rationale of foreign language departments. According to numerous MT experts, human translation will continue to exist in a narrow scope and in specialized domains, while a majority of general information will be translated through MT systems. Future human translators will have both advanced language proficiency and expertise in the field. Any current French student who wants to use French at any time after graduation, should have a robust and resilient knowledge-structure, on the basis of which (s)he can evaluate correctly MT results.
In this study, focusing on ‘grammar’ which is known to be effective in adult language learning, we design an undergraduate curriculum of major French grammar courses. Its characteristic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rom a macro perspective, the spiral arrangement of the 2 facultative courses around the 1 obligatory course enables students expand their grammar-knowledge in all cases depending on the number and order of courses taken. Second, from a micro perspective, the fine-grained teaching-learning contents of the 3 different courses are planned in advance in order to enhance the scalability of the curriculum. Third, we propose some principles for adopting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ologies which encourage students to take advantage of the prospering AI-based language-processing technology such as electronic dictionaries, MT systems, etc.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기
2. 기계번역 기술의 현황과 전망
3. 프랑스어 문법 교과과정의 설계
4. 이어가기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6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001-001295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