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ualization of enlightenment and Apology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91:1-41 (2021)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은 대승불교의 『대승기신론』과 레비나스의 『전체와 무한』이 깨달음의 과정에 대해 얼마나 생산적인 대화를 나눌 수 있는지를 보이고자 한다. 이런 목적 아래 『대승기신론』의 시각始覺 운동과 『전체와 무한』의 변론apologie 운동 중에서 전반부의 두 단계를 주제로 삼아, 첫째로는 불각不覺과 변론의 사투를, 둘째로는 상사각相似覺과 변론의 소송을 비교 분석한다. 이 대화는 쌍방에 호혜적인 것으로 밝혀질 만큼 생산적이다. 『대승기신론』 쪽에서는 지금껏 추상적 진공 상태에 머물러 있던 두 종류의 각覺이 드라마틱한 현상학적 구체성을 얻는다. 이는 『전체와 무한』에서 연출되는 변론 드라마와의 조응 덕분이다. 『전체와 무한』 쪽에서는 복잡다단한 사건들의 우여곡절로만 보였던 것이, 『대승기신론』의 논리적 도식과의 호응을 통해, 체계적 분절에 따른 논리적 운동인 것으로 밝혀진다. 또한, 『전체와 무한』의 변론 투쟁이 『정신현상학』의 인정 투쟁과 왜 그리고 어떻게 다른지를 조명할 수 있는 것도 『대승기신론』과의 대화가 제공한 조망권에 힘입은 바 크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745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Final Enlightenment and Eros. 김상록 - 2022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95:121-159.
Socrates on Disobedience to Law. 이기백 - 2019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7:63-95.
Zhuangzi’s ‘Wuqiong(無窮)’ and ‘Borders(封)’. 강여울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1:1-26.
Aspects of the Use of Wisdom and Brightness in the Four Books. 임종진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387-409.
Agamben’s Concept of Negativity and Aesthetics. 김지혜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1:135-152.
WonHyo(元曉)’s Philosophy of ‘Mind Interrelating as if Oneness’(一心). 박태원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8:27-54.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5 (#847,061)

6 months
2 (#1,816,28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