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raditional ‘Ak-ron樂論’ of Oriental Thought - Focused on Jeong Yak-yong"s “『Akseo Gojon樂書孤存』”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4:165-211 (2022)
  Copy   BIBTEX

Abstract

이 연구는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악서고존樂書孤存』을 통해 중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하는 동양의 고대 ‘악론樂論’을 성찰해보려는 시도이다. 고대로부터 한자와 유교를 공유한 문화권에서는 음악을 단순히 유희의 대상으로 삼지 않고 인간의 내면과 관계되는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그것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공효功效에 주목하였다. 고대인들은 ‘악樂’이 인간의 내면으로부터 나오는 것으로 간주하고 이를 인간의 수양과 교화의 중요한 수단으로 여겼다. 나아가 ‘악’은 선정善政을 이룩하는 치도治道의 핵심으로 자리잡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공자孔子(B.C.551~B.C.479)의 ‘예악정치禮樂政治’ 사상이다.BR 이러한 음악관이 형성된 것은 그 시기를 특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매우 오래된 일이다. 또 그것은 선진先秦시대 이후 진한대秦漢代를 거쳐 매우 오랜 기간 동안 수많은 학자들의 설이 첨삭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후대의 학자들은 기존의 학설에 자신들의 연구와 당대當代의 이론을 합하여 다양한 ‘악 이론’을 제시하였다. 『여씨춘추呂氏春秋』, 『관자管子』, 『사기史記』, 『회남자淮南子』, 『한서漢書』, 『후한서後漢書』, 『악서樂書』와 『율려신서律呂新書』 등은 ‘악’을 당시의 각종 우주론이나 자연론 등과 연관하여 설명하기 시작하면서 더욱 복잡해지는 양상을 띠게 된다. 또 다양한 악률산출 이론이나 율관律管의 제작법을 제시하는데, 그 이론이 서로 합치되지 않아 가닥을 잡기가 어렵다. 더욱이 이러한 이론들은 ‘악’에 대한 관념론적 성향과 이론성이 강하여 실제 악기의 조율이나 연주에 합당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BR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 후기 정약용의 『악서고존』은 꽤나 눈길을 끈다. 성리학적 풍토가 강한 조선사회에서 정약용의 학문태도는 관념적인 것을 벗어나 실제 삶에서 활용될 수 있는 실용성을 추구하는 성향이 강하다. 『악서고존』도 그러한 맥락에서 저술되었다. 정약용이 『악서고존』을 통해 추구한 것은 옛 ‘악’의 원리를 밝히고 그 제도를 회복한다는 것이다.BR 이 논문은 『악서고존』의 안내에 따라 동양 고대의 ‘악 이론’을 들여다보려고 한다. 이를 통하여 원시유가의 학자들이 추구했던 예악사상의 본의를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그리하여 그간의 연구자들이 관념적인 ‘악’에 치우쳐 이론상으로는 예악사상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실제상으로는 ‘악’에 대한 언급이나 강론이 어려웠던 상황을 조금이나마 해소되기를 기대해 본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590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荀子와 先秦儒家 樂論의 成立에 대한 연구. 정병섭 - 2010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4:349-382.
「經說」을 통해 본 眉叟 許穆의 禮樂論. 선우미정 - 201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99:7-32.
A Taoist-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Mencius’ Yangmin theory(養民論). 김희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7:75-95.
The Ethical Thoughts of Guanzi - The Logic of Meeting of the Profits and the Right -. 장승희 - 2012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5):1-29.
Analyzing “Correct Naming(正名)” from the logic of Xun Zi. 김정희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9:221-238.

Analytics

Added to PP
2023-01-05

Downloads
6 (#711,559)

6 months
3 (#1,723,83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