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ncept of Ecstasy and Early Heidegger’s Appropriation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8:69-97 (2022)
  Copy   BIBTEX

Abstract

본래 탈자는 신과 인간의 의식연관으로서 육체적 틀을 벗어난 자아의 상태이다. 그 의 미는 신과의 교섭을 통해 현존하는 인간이 자기의 무근거(Ungrund)를 망각하는 주술과도 같다. 하지만 하이데거는 이러한 탈자를 부조리한 죽음을 뒤집어 버리는 불안의 주술로 바 꾼다. 그것은 죽음의 숙고 속에 일상적 세계를 떠나 기투하면서 본래적인 자기로 존재할 것을 결의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하이데거는 죽음을 인간 존재의 기초조건으로 간주하고 인간을 본래적으로 존재하게 하는 무력한 결의를 산출한다. 이러한 실존의 양식으로 인간 의 본질을 밝히고자 했던 초기 하이데거는 많은 비판에 직면한다. 비판가들은 현존재의 본 래성에 함의된 유아론적 혐의를 확인하고 신의 이념을 전제하는 다른 유형의 인간주의라 고 말한다. 이러한 비판은 인간의 세속적 이해를 초월해야한다는 본래성 개념이 스콜라철 학의 절대성과 인격성에 손쉽게 연관 지어짐에 따른 결과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초 기 하이데거가 어떻게 탈자의 관념을 전유하는지 밝힌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2,923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La conoscenza estatica nelle Conferenze di Erlangen di F.W.J. Schelling.Tommaso Mauri - 2021 - Lo Sguardo - Rivista di Filosofia 2 (33):335-349.
DAS AUßER-SICH-SEIN BEI SCHELLING UND HEIDEGGER.Andrei Patkul - 2015 - HORIZON. Studies in Phenomenology 4 (2):121-138.
Cosmic Ecstasy and Process Theology.Blair Reynolds - 2005 - Cosmos and History 1 (2):319-333.
Cosmic Ecstasy and Process Theology.Blair Reynolds - 2006 - Cosmos and History : The Journal of Natural and Social Philosophy 1 (2):319-333.
Cosmic Ecstasy and Process Theology.Blair Reynolds - 2005 - Cosmos and History : The Journal of Natural and Social Philosophy 1 (2):295-318.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2 (#1,815,597)

6 months
2 (#1,250,897)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