干支의 존재 이유와 존재구조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94 (94):5-24 (2019)
  Copy   BIBTEX

Abstract

역도를 드러내는 방법은 세 가지로 구분되는데, 이는 간지도수원리․하도낙서원리․괘효원리다. 유가경전 중 역도를 표상하는 대표적 서적인 『주역』에는 주로 괘효원리로 역도가 표상되어 있으며, 약간의 간지도수원리와 하도낙서원리가 언급되어 있다. 그리고 『正易』에는 주로 간지도수원리와 하도낙서원리를 위주로 역도가 표현되어 있으며, 약간의 괘효원리도 언급되어 있다. 간지는 10천간과 12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정역』에 의하면 천지지수에 의하여 생성된다. 그런데 천지지수로부터 천간과 지지가 생성되는 이유는 천지만물의 근원자와 그로부터 생성된 실체(작용의 주체)와 작용원리를 드러내기 위해서 천간이 필요하며, 그 실체가 작용하는 때(시)를 드러내기 위하여 지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천간은 기와 무 그리고 실체를 상징하는 경․임․갑․병으로 이루어진 정령과 작용원리를 상징하는 정․을․계․신으로 이루어진 율려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지는 정령과 결부되는 자․인․진․오․신․술과 율려와 결부되는 축․묘․사․미․유․해로 구성되어 있다. 천간과 지지는 서로 결합하여 60간지를 이루는데, 이에 의하여 천도의 존재구조가 밝혀지고, 천도에 존재근거하여 천명과 인도도 밝힐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우선 천도의 존재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필요한 간지도수의 존재 이유와 존재구조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2,758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7

Downloads
4 (#1,638,237)

6 months
4 (#851,472)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