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hilosophical Study of Sexuality Inherent in the Me Too Movement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3:147-166 (2023)
  Copy   BIBTEX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주의 페미니즘 관점에서 미투 운동에 내재된 섹슈얼리티 문제를 철학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미투 운동에서 드러난 여성 억압은 가부장주의와 남성우월주의뿐만 아니라, 자본주의의 노동 구조와 법적·정치적 구조, 그리고 사회문화적 제도 등에서 비롯된 남녀 간 힘의 불균등에서 기인한다는 것을 논증할 것이다. 아울러 미투 운동에 내재된 섹슈얼리티를 통해 성과 권력의 문제, 그리고 성과 관련한 우리사회의 비뚤어진 욕망을 중점적으로 탐구하는 것이 이 연구의 필요성이다.BR 본 연구는 여성 억압의 문제를 성차별과 계급차별로 분리하지 않고, 계급과 젠더가 맞물리는 지점에 주목하면서 산업구조와 자본 및 경제적 구조에 따라 변화하는 공적 영역에서 여성의 역할을 통해 여성 억압을 분석하였다. 사회주의 페미니즘 관점에서 여성문제는 가부장제와 자본주의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 한국사회의 미투 운동에 내재된 여성 섹슈얼리티에 대해 고찰하면서, 사회주의 페미니즘 관점에서 여성문제를 야기하는 주체를 남성과 자본가로 상정하고 다음과 같은 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가부장제가 어떻게 계급관계를 발전시키고 유지할 수 있게 하는가? 둘째, 여성억압은 남녀 간의 성관계에서 발생하였는가 아니면 계급관계에 의해서 만들어졌는가? 셋째, 계급억압, 성별억압 등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 에 대한 문제점들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미투 운동 이후에도 우리사회에는 계급구조를 악용한 폐쇄적 남성 카르텔의 범주 속에서 여성은 여전히 성적인 대상과 관음의 대상으로 고착화되어 있을 수밖에 없는 원인을 밝혔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77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Women"s Labor in William Morris"s Aesthetics. 서희주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1:43-58.
Ethical Human Beings and the Possibility of Informational Ethics. 이상형 - 2023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7:225-257.
Later Wittgenstein’s View on Human Beings as Ritual Beings. 하영미 - 2018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2:25-50.
Usher, Placeholder and Cubism. 최행준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3:327-347.

Analytics

Added to PP
2023-09-12

Downloads
3 (#1,729,833)

6 months
2 (#1,445,320)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