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henomenological Study on Schiller’s Conception of Freedom - On the Relation between Otherness and Autonomy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6:53-82 (2018)
  Copy   BIBTEX

Abstract

20세기 이후 많이 논의되는 주제가 타자이다. 전통적으로, 특히 근대이후, 자유주의의 대두와 함께 타자와 자유는 서로 양립하기가 어려운 개념으로 여겨져 왔다. 자유주의의 관점에서 자유는 외적 억압 및 방해의 부재라는 조건이 필수적이며, 이 외적 억압 및 방해의 핵심을 이루는 것이 바로 타자(타인)이다. 벌린의 ‘소극적 자유’ 개념은 이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자유는 타자를 배제하고 이해하기 어려우며, 타자성 또한 자유의 본질적 계기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이 강력하게 제기되었다. 관계적 체험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현상학은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자유에 대한 논의를 펼친다. 아렌트나 메를로퐁티 등에 의해 제시된 현상학적인 자유 개념은 따라서 타자연관적 자유 개념을 통해 소극적 자유개념이 지니는 한계를 나름대로 넘어선다. 그러나 현상학적 자유 개념은 자율적(주권적) 주체 개념에 대한 거부감으로 인해 적극적인 자유 개념이 지니는 가치지향적인 자유 내지 사회적 자유의 비전은 제대로 제시하지 못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실러의 미적 자유 개념은 타자연관성을 함축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종류의 자율성 개념을 보여줌으로써 타자성과 자율성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는 자유의 구체적인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식의 실러 자유 개념의 해석은 현상학적인 관점, 즉 관계성과 직접적 체험 그리고 중간영역의 탐구라는 현상학 고유의 방법론적 틀 속에서 이루어질 때, 그 가치가 보다 분명하게 드러날 수 있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642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On Honneth’s Concept of Social Freedom. 강병호 - 2022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0:223-246.
The Three Concepts of Freedom and Their Realization conditions. 이상형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231-261.
The Forking Paths Model and the No Constraints Model of Freedom and Moral Responsibility. 이희열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0:381-401.
A Study of Schiller’s Concept of Play Drive. 정진범 - 2022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8:1-31.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3 (#1,729,579)

6 months
6 (#587,658)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