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atus the samatha and vipassanā meditation in the early Abhidharma texts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5:147-161 (2016)
  Copy   BIBTEX

Abstract

‘사마타(samatha, 止)’와 ‘위빠사나(vipassanā, 觀)’는 불교 명상을 의미하는 대표적인 술어의 하나로서 초기불교에서 후기불교의 경론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바로 ‘사마타/위빠사나’ 개념이 다양한 불교 명상법의 핵심적 의미를 드러내주는 위치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BR 이 글은 지금까지 사마타/위빠사나 명상의 의미와 그 체계를 분석한 연구에서 초기아비달마의 문헌들에 대한 분석이 전혀 시도되지 않았던 사정을 고려하여 『구사론』과 『청정도론』 이전의 논의구조, 즉 ‘사마타/위빠사나’라는 불교명상의 해석 구도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보려는 하나의 시도이다.BR 이 글에서는 남북 양전의 7론을 ‘초기아비달마 논서’로 부르며, 이들 문헌에 나타난 사마타/위빠사나의 개념 분석을 연구의 중심으로 삼는다. 이는 초기불교 경전들에서 자리매김 된 사마타/위빠사나 명상법이 아비달마 시대에 와서 어떤 측면에서 동일성과 차별성이 드러나고 있는지에 주목하여 사상사적 추이를 분석하려는 작업이다. 이 결과는 사마타/위빠사나 명상의 의미와 그 위상을 파악하는 데 하나의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BR 초기 아비달마 문헌 분석의 결과를 정리하면, 먼저 사마타는 탐욕, 의도, 감정 등의 부적절한 마음 상태의 그침 또는 멈춤을 지향한다. 위빠사나는 좀 더 분명하고 구체적인 언어들을 동원하고 있는데 이들의 의미를 종합해보면, 앎, 반성적이고 철학적인 사유를 포괄하고, 명상수행이 실제로 전개되고 있는 바로 그 지점을 지속적으로 인지하여 수행이 원만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기능하는 역할을 감당하고 있는 것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1,853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Buddhist meditation and consciousness of time.P. Novak - 1996 - Journal of Consciousness Studies 3 (3):267-77.
Meditation and mindfulness.Martine Batchelor - 2011 - Contemporary Buddhism 12 (1):157-164.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5 (#1,539,211)

6 months
4 (#787,709)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