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izen Education and Rortian Sentimental Ethics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3:197-214 (2020)
  Copy   BIBTEX

Abstract

최근 코로나19의 팬데믹 상황이 지속되면서 개인적 자유와 사회적 공공선 사이의 충돌 이 잦다. 관련해서 이 글은 시민교육 의 의미와 방향을 고찰한다. 먼저, 시민(성), 시민교 육, 민주적 시민성 교육 에 대해 개념적 의미와 서로 간의 관계를 논의한다. 그 결과 시민 교육 은 자유주의적 시민의 권리와 공동체주의적 시민의 덕성을 민주주의적으로 견인하고 조율하는 민주적 시민성에 대한 교육 이 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이런 의미의 시민교육 에 대한 방법적 고민으로서 로티적 교육관을 고찰한 다. 로티적 시각에 따르면, 교육에 관한 당대 미국사회는 우파적 진리 탐구 와 좌파적 자 유 추구 사이의 대립으로 요약된다. 그런데 이런 대립에도 양쪽은 모두 자신의 관점의 근 저에 인간의 본성을 인정하는 존재론적 인성론을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로티는 인간과 동 물의 본성적 차이를 부정하고 그 유일한 차이를 행위 양태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정도 차이 로 생각하고서 인간의 본성에 근거하는 우파와 좌파적 교육관에 비판적이다. 그는 교육 을 인간의 본성에 근거한 우파적 진리 탐구 나 좌파적 자유 추구 로만 보려는 것에 반대하 고, 뚜렷이 구별되지만 똑 같이 필요한 두 가지 과정인 사회화 와 개성화 로서 파악한다. 달리 말해서 우리는 동물에서 인간으로 사회화 되고, 인간에서 구체적이고 자율적인 개인 으로 개성화 되는 일련의 성장과정을 겪는데, 로티는 이러한 성장을 교육 으로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로티적 교육관을 시민교육 즉 민주적 시민성에 대한 교육 에 연계하면서 그 시사점을 고찰한다. 핵심은 시민의 권리와 시민적 덕성을 함양하기 위한 방법과 연관해 서 시민권을 인간의 고유한 권리와 연계하거나 시민적 덕성을 인간의 고유한 행위적 도덕 성과 연계하여 논의하고 정당화하는 시도가 별로 유용하지 않다는 것이다. 오히려 로티적 시사점에 따르면, 중요한 것은 구체적 현실에서 공동체 구성원들이 자율적 행위를 수행하 면서도, 동시에 공동체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 구성원들 사이의 연대적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현실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런 방안을 마련하는 데는 인간의 합리성이나 도덕성과 같은 보편적 본성에 대한 탐구와 정당화 논의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구체적 갈 등과 고통이 발생하는 현장에서 갈등의 구체성과 고통당하는 이들의 고통에 공감하는 실 천적 노력들이 훨씬 중요하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590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Rortyan Reflections on Citizenship in a Liberal Society. 박대원 - 2024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6:125-151.
Namgoong-uck"s Thoughts on Confucian Education and the Value for 『The Education of Family』. 하윤서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0:185-201.
A Critical Study of Plato s Theory of Education. 배상식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3:265-296.
Meaning and Direction of Value Education in College. 이원봉 - 2016 - The Catholic Philosophy 26:85-110.
An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WE”. 이섭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9:237-264.
Legal Morality and Moral Law in Kant. 김덕수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7:15-36.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4 (#1,013,551)

6 months
1 (#1,912,481)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