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ance between ‘post-truth’ and the care-subject -Focusing on Foucault’s truth and resistance-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87:71-91 (2020)
  Copy   BIBTEX

Abstract

탈진실이라는 용어는 최근 등장한 새로운 개념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 용어가 등장하는 생활환경을 낯설게 생각하지 않을 정도로 탈진실이라는 용어에 이미 익숙하다. 일명 가짜 뉴스나 데이터 조작으로 발생한 탈진실의 상황은 진실을 찾고 추구하려 시도했던 지식의 탑을 어떤 방식으로 조롱할 수 있는지 여실히 보여주었다. 이 글은 탈진실에 대한 기존의 분석들을 소개하고 탈진실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는 논점에 대해 다시 살피고자 한다. 그로부터 탈진실에 대한 개념적 정의가 정확하게 탈진실이 무엇인지 해명하지 못한다고 지적할 것이다. 또 탈진실이 발생한 배경으로 지목받는 해체주의와 푸코의 지식 담론에 대한 논의들이 실제로 탈진실과는 무관한 문제임을 밝힐 것이다. 그로부터 이 글은 푸코의 진실론에 기반하여 탈진실의 개념은 푸코의 사유에서 찾을 수 없고 오히려 반푸코적 현상이라는 점을 규명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푸코의 진실론(parrhêsia)을 통해 탈진실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77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자기 함양에 관한 의문 : 푸코, 루크스, 권력.Kim-Su Rasmussen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9:123-145.
Democratic Politics, Free Speech, and Philosophy of Truth. 황옥자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8:289-306.
Foucault and Philosophy. 김은주 - 2022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2:29-58.
Foucault and Canguilhem - Science, Life and Subject -. 주재형 - 2018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4:117-147.
Cosmos, Cosmology and Philosophy of Cosmology: An Essay on Archeology of Cosmology. 이지선 - 2020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0:69-97.
An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WE”. 이섭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9:237-264.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4 (#1,642,475)

6 months
3 (#1,206,053)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