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smos, Cosmology and Philosophy of Cosmology: An Essay on Archeology of Cosmology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0:69-97 (2020)
  Copy   BIBTEX

Abstract

우주론이 우주를 대상으로 하는 과학이라면, 우주철학은 우주론을 대상으로 하는 철학으로, 주로 우주란 무엇인지, 그리고 이 우주를 대상으로 하는 과학이 가능한지를 다룬다. 우주는 존재하는 모든 것을 포괄하는 하나의 전체로 정의된다. 이는 우주론에 과학성, 혹은 과학으로서의 가능성이라는 문제를 제기하며 또 특유의 자기성찰성으로 이어진다. 최근 다중우주 개념이 대두되면서 이 문제는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는데, 이로부터 우주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하나의 열린 개념이며, 우주와 우주론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나는 이 논문에서 우선 우주철학을 개괄하고, 그 핵심 문제로 현대우주론에서 우주가 어떻게 규정되는지, 이것이 다른 과학적 대상과 어떻게 같고 다른지를 논할 것이다. 그리고 우주철학의 방법론으로서 우주를 우주론이라는 하나의 과학이 다루는 대상으로서 접근하는 푸코의 의미에서의 “고고학”을 제시할 것이다. 또 칸트와 콩트의 사례를 통해 오늘날 우주와 우주론에 대한 이해의 근원을 17-19세기 고전과학의 우주론적 사유에서 찾을 수 있음을 보이고, 이것이 우주철학에 어떤 함축을 갖는지를 살필 것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12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Lovecraft and Philosophy : Life as Anti-Cosmos. 주재형 - 2021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89:73-118.
Forgiveness as Something We do. 이선형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8:75-96.
Chair et Institution chez Merleau-Ponty pour le réalisme propre à l'homme. 신인섭 - 2023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40:33-57.
A study on the relation of knowledge and language in Kant’s Philosophy. 김영례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7:103-123.
Sartre and the problem of solipsism. 이솔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4:297-313.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9 (#1,281,906)

6 months
8 (#415,230)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