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manism in Prodicus’ Seasons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1:195-221 (2023)
  Copy   BIBTEX

Abstract

프로디코스는 자신의 『시기들』이라는 글에서 인간이라면 마땅히 취해야 하는 인간적 삶의 방향을 제안한다. 그 글 안에서 아레테와 카키아라는 두 신적인 존재가 등장하여 헤라클레스에게 각각 자신이 제안하는 삶의 길을 따르라고 요청한다. 아레테가 제안하는 길은 노고 및 땀으로 이루어진 삶인 반면, 카키아가 제안하는 길은 즐거움과 함께 하는 쉬운 삶이며, 둘 모두 궁극적으로는 자신들의 길을 통해 행복(eudaimonia)에 이르리라 약속한다. 그리고 헤라클레스는 아레테의 길을 선택한다. 이러한 내용으로 인해 프로디코스의『시기들』은 인간의 자제력(enkrateia)을 중요시하며, 이를 통해 탁월함(덕)에 이를 수 있다는 인본주의적 성격을 담고 있다고 이해되어 왔다.BR 전통적 신관과는 달리, 프로디코스는 인간의 생존에 유익함을 보장하는 것들을, 예를 들어 음식과 음료 그리고 해와 달 등을, 신으로 강조하는 논의를 펼쳤다고 전해진다. 이와 함께 그는 ‘용어의 옳음’(orthoepeia)이라 알려진 언어론적 입장 또한 고수했다고 알려지고 있다. 그의 언어론에 따를 경우, 가령 ‘플레그마’(phlegma: 점액)는 본성상 그 의미가 ‘페플레크타이’(pephlechthai: 끓는)인 대상에 부응하고 그 대상으로부터 어원의 형태가 일관되기에 옳다는 논의처럼, 각 용어는 그것이 가리키는 대상과 의미에서 본성적 일관성을 유지해야 하며 동시에 용어 자체의 형태에서도 일관성이 갖추어진 경우에만 옳다. 이와 같은 프로디코스의 신론적 및 언어론적 입장을 고려할 경우, 두 신적인 존재가 행복으로서의 ‘즐거움’을 다루는 『시기들』에 담지된 인본주의적 성격은 인간 한정적 유익함으로서의 탁월함 완수가 곧 결과론적 즐거움으로서의 행복이라는 내용으로 보다 구체화될 수 있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642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Metaphysics and Ethics of Thing from Han Wonjin’s Theory of Nature. 배제성 - 2022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2:1-27.
The Cartesian way and the non-Cartesian way to intersubjectivity in Husserl. 박지영 - 2019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81:39-62.
An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WE”. 이섭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9:237-264.
The Metaphysics of Salvation - A Study on Bergson’s Theory of Emotion -. 차건희 - 2023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4:27-48.
Dissoi Logoi ; A Proto-Model of Pyrrhonism. 이윤철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6:365-406.
The principle of Mind Healing: Focused on Buddhist Doctrine of Karma and Retribution. 장진영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6:193-219.
Ontology of Possession - Based on Sartre -. 이성환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2:173-196.
A Study on the Unvirtuousness of the Sadan -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Toegye and Gobong -. 배병대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149-167.

Analytics

Added to PP
2023-02-16

Downloads
24 (#155,087)

6 months
10 (#1,198,792)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