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ilosophy of Publicness and Creation of Culture

Modern Philosophy 12:35-58 (2018)
  Copy   BIBTEX

Abstract

이 글은 새로운 의사소통의 장을 마련하면서 화두로 떠오르는 공공성, 공공철학에 대한 논의를 심화하는데 목표가 있다. 공공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것은 그 사상의 독특함이 동·서양을 함께 아우르면서 기존의 논의를 넘어서고 있기 때문이다. 철학사적으로 역사가 깊지 않은 공공성에 대한 철학을 개념적으로 그리스 철학, 칸트, 아렌트, 일본철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공공성과 관련된 여러 국가정책 수립과 관련해 문화공공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국가의 지원정책이 사회 철학적으로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는지 살펴보며, 그 가능성과 한계도 짚어보고자 한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12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Yuhak, sidae wa t'onghada.Kyo-bin Kim (ed.) - 2012 - Sŏul-si: Chaŭm kwa Moŭm.
The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in Ross's Theory of Duty. 허정훈 - 2013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1):261-293.
Unification Nationalism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Era of Multiculturalism. 김창근 - 2010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7):137-162.
최근 북한의 교육법제 동향에 대한 이해 –고등교육법을 중심으로-.Inpyo Hwang - 2014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6):169-202.
The Limitations and Applications of Good and Evil as the Ethical Value Concept. 김진선 - 2016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08):329-355.
향상약물복용에 대한 윤리적 접근: 인지향상약물의 수단 및 방법을 중심으로. 심지원 - 2015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02):145-167.
The Understanding of Citation and Plagiarism for Establishment of the Research Ethics. 이인재 - 200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66):1-25.

Analytics

Added to PP
2024-03-13

Downloads
1 (#1,913,683)

6 months
1 (#1,516,603)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Sorry, there are not enough data points to plot this chart.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