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demos : Possibility of a New Political Subject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0:23-47 (2017)
  Copy   BIBTEX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시대적 변화에 따른 새로운 정치적 주체의 가능성을 ‘포스트데모스’라는 개념을 통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인공지능을 핵심으로 하는 포스트데모스가 공적 영역에서 존재하며 정치적 행위자로 인식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 포스트데모스가 정치적 행위자일 뿐만 아니라 정치적 주체가 될 수 있는 조건을 검토한 뒤, 정치적 주체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민(民)의 역사적 발전 경험을 통해서 조망한다. 포스트데모스가 새로운 정치적 주체로 탄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당위적이 아니라 현실적인 차원에서 검토하는 본 연구는 정치 영역에 4차 산업 혁명이 가져올 변화를 직시하고 그 대응책을 정치철학적으로 모색하는 첫 번째 시도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86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Hannah Arendt s Concept of Political Forgiveness. 김선욱 & 성신형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2:109-134.
A Critique of the Opposition’s Arguments on Political Correctness. 이윤복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0:75-98.
Mouffe’s Critiques of the Rawls’ Political Liberalism. 이진현 - 2023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7:295-323.
An Ontological study of ‘Identity’. 박현정 - 2021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6:61-93.
Political-Philosophical Understanding and Teaching about Political Philosophy.Dong-il Kim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4:43-64.
On the Agent of Political Reponsibility by Iris Marion Young’s Social Connection Model. 서원주 - 2023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43:1-21.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4 (#1,643,353)

6 months
1 (#1,721,226)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