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Ontological study of ‘Identity’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6:61-93 (2021)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은 타자성의 시대에 걸맞은 “정체성”의 개념을 탐구하기 위해, 랑시에르(Jacques Rancière)의 정치철학을 다룬다. 많은 현대적 사상이 낡은 “주체”개념을 해체하면서 ‘자기성’에 대한 숙고 역시 함께 내버린다. 그러나 자기성 혹은 정체성을 숙고하지 않는 한, 그들이 중시하는 개별성은 물론이고 이 개별성이 엮어내는 변혁의 자리 역시 확보되지 않는다. 반면 랑시에르의 사유는 “정치적 주체화”를 주제화함으로써 탈주체의 시대 ‘정체성’이 어떠한 것일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본 논문이 “탈정체적 정체화”라고 명명하게 될 것을 정치적 주체의 존재 방식으로 제시함으로써, 그는 단순히 타자성으로 환원될 수만은 없는 ‘자기성’을 견지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랑시에르가 정치의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시한 최종적 근거인 “만인의 평등” 개념의 의미를 분석한다. 그리고 그가 스승인 알튀세르(Louis Althusser)와 결별하면서 의도했던 바, 단순히 탁월한 소수의 인간만이 아니라 모든 평범한 개별자에게서 정치의 가능성을 확보하려는 의도를 실제로 획득해낼 수 있으려면 이 ‘평등’ 개념이 ‘존재론적으로’ 뒷받침되는 일이 불가피함을 밝힐 것이다. 그리고 본 논문은 랑시에르를 내세우고 하이데거(Martin Heidegger)를 참조하는 정체성에 대한 한 존재론적 고찰로 나아간다. 치안을 뛰어넘는 정치의 실현이 가능한 것으로 여겨질 때 앞서 전제되는 인간의 ‘평등’이란, 결국 공동의 세계를 새로이 열어젖힐 수 있는 본래적인 가능성이 누구나의 실존 구조에 이미 속함을 뜻한다. 물론 인간들은 이 본래적 가능성을 붙잡지 못하고 비본래적으로 단순히 치안 안에서 자기의 몫을 셈하는 자로 머무르는 데 그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체화의 가능성을 단순한 비현실성이 아니라 우리 손에 닿는 실제적 가능성으로 만들기 위해, 이 가능성을 보장하는 인간 실존의 비본래성과 본래성의 ‘동근원성’을 밝힐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본 논문은 하나의 인간, 하나의 주체로 행위하는 일이 타인과 더불어 세계-내-존재하는 개별적 인간, 철저히 유한성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에게 가장 알맞은 ‘자기임’ 혹은 ‘정체성임’을 숙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이 타자성의 시대, 매일 매일을 타성에 젖어 살아가는 가진 것 없는 이들에게도 유의미한 정체성의 존재론을 확보해내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86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Postdemos : Possibility of a New Political Subject. 박성진, 김현주, 윤비 & 김동일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0:23-47.
An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WE”. 이섭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9:237-264.
Adorno’s Moral Philosophy - Politics: from Rule of law to Rule of Moral -. 이병탁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2:229-253.
Two Faces of Identity Politics : From Identity Politics to Decentralized Citizenship. 이상환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7:177-202.
Happiness, State and Politics in Hegel’s Philosophy of Law. 소병일 - 2020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2:129-150.
What may I hope? - Postulate of the highest Good. 최소인 & 정제기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7:467-488.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2 (#1,823,102)

6 months
1 (#1,721,226)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