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ssential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Death from the Point of ‘DaeDae Principle’ in 『The Book of Changes』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8:63-91 (2019)
  Copy   BIBTEX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주역』의 ‘대대원리’에 입각하여 삶과 죽음간의 본질적 관계를 탐색함으 로써 삶과 죽음의 의미를 이해하고, 어떻게 잘 살다가 어떻게 잘 죽을 것인가에 대한 철학 적 관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음ㆍ양 간 상관성, 동시성, 상함성, 그리고 상보성의 대대 인 식원리는 삶과 죽음간의 본질적 관계를 깨닫게 한다. 대대적 사고는 잘 산다는 것과 잘 죽 는다는 것이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명확히 인식시켜주는 중요한 핵심 논리가 된다. 우선 삶과 죽음 관계의 철학적 의미는 선행연구 탐색을 통해 정리하고, 『주역』의 대대․변역논리에 근거하여 삶과 죽음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전일론적 관점에서 보면 삶과 죽음은 하나의 통합된 대대관계이며, 상호적 관계 속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동시적이 며 상함적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사례로 본 예괘의 풀이에서도 삶에서 겪게 되는 기쁨과 근심, 쾌락과 우환 등 길함과 흉함은 언제라도 상호 전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삶’과 ‘죽음’은 결코 분리하여 설명할 수 없다는 대대적 인식은 죽음의 문제를 삶의 중심으로 끌어들여서 회피하지 말고 직면할 것을 요구한다. 삶과 죽음의 본질을 깨닫게 되면 품위 있 고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간다는 것이 곧 좋은 죽음을 맞이하기 위한 필요조건이 되기 때문 이다.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을 영위하는 동안에 죽음을 잘 준비함으로써 당 하는 죽음이 아닌 기꺼이 맞이하는 죽음이 가능하다. 둘째, 쾌락만을 추구하는 삶에 방향 전환의 계기를 만들 수 있다. 셋째, 웰빙과 웰다잉은 반드시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 넷째, 잘산다는 것의 참의미는 서로 배려하고 나누며 함께하는 공동체의 삶임을 자각하게 한다. 다섯째, 물질만능의 비인간적인 현재 삶의 방식에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 등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12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Zhuangzi’s View on Death and Its Philosophical Implications. 오현중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6:163-182.
Na nŭn ŏttŏk'e chugŭl kŏt in'ga.Yŏng-an Kang (ed.) - 2016 - Kyŏnggi-do P'aju-si: 21-segi Puksŭ.
Is the Death of a Youth Worse than the Death of a Baby? 김한승 - 2017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2:165-188.
The Nature and Task of Ethics from the Perspective of Wittgenstein. 박찬구 - 2013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1):1-27.
Yi Ik ege kwanyong ŭl paeuda.Hŭn Sŏl - 2018 - Kyŏnggi-do Koyang-si: Wijŭdŏm Hausŭ.
Heidegger’s Environment and Existential Anxiety. 박인정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0:21-49.
Etiquette’s Duality and The Virtue. 김덕수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9:1-18.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2 (#1,819,493)

6 months
1 (#1,516,603)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