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4
    Aristotle on the Deliberative Abilities of Women and Political Virtue. 장영란 - 2021 - Korean Feminist Philosophy 36:1-33.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
    Seneca on Fate and Virtue Training. 장영란 - 2019 - Korean Feminist Philosophy 31:142-168.
    세네카의 철학에 나타난 인간의 운명과 삶의 고난과 역경의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세 가지의 측면에서 다룬다. 첫째, 운명의 필연성과 이것에 필요한 삶의 기술에 대해 다룬다. 세네카는 우리에게 일어날 수 있는 불행에 대해 미리 준비해야 한다고 한다. 우리는 다른 사람에게 일어나는 불운을 보면서 언제가 우리에게도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고, 미리 일어나기 전에 훈련을 통해 자신의 영혼을 무장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선한 사람들의 고난과 역경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세네카는 엄밀한 의미에서 선한 사람들에게 불운이 닥칠 수는 없다고 한다. 선한 사람들에게 어떠한 악도 일어날 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4
    The Active Life and The Contemplate Life in the Political Philosophy of Aristotle and Hannah Arendt. 장영란 - 2016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5:271-299.
    본 논문은 고대 그리스철학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와 현대 철학의 한나 아렌트의 활동적 삶과 관조적 삶에 대한 논의를 비교하여, 한나 아렌트가 그리스사상의 전통에서 활동적 삶의 정치적 의미를 어떻게 해석하였는지를 분석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고대 그리스철학에서 나타나는 활동적 삶과 관조적 삶에 대한 논의는 크게 두 가지로 설명된다. 첫째, 활동적 삶과 관조적 삶의 상호연관성이다. 둘째, 활동적 삶에 대한 관조적 삶의 우위성이다. 첫 번째 논제에 대해 아리스토텔레스는 두 종류의 삶의 방식이 상호보완적이라고 생각한다. 인간은 본성적으로 정치적 동물이기 때문에 국가공동체 안에서 인간으로서의 탁월성을 발휘할 수가 있으며, 나아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