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aning and the Pursuit Method of Happiness in the Early Buddhism : focus on the Nikaya Sutra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06):89-127 (2016)
  Copy   BIBTEX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행복담론에 대한 성찰을 토대로 초기불교에 나타난 행복의 의미와 추구 방법을 탐구함으로써 오늘날 행복담론의 방향성 정립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생을 고(苦)라고 전제한 불교는 행복과 거리가 먼 사상으로 인식되지만, 초기불교에서는 인생의 목적이 행복, 즉 고(苦)를 극복하여 락(樂) 에 이르는 이고득락(離苦得樂)임을 분명히 하였다. 초기불교에서는 고(苦)의 원인은 갈애(渴愛)와 무명(無明)에 의한 번뇌이며, 행복은 이 번뇌심리를 극복함으로써얻어진다고 하였다. 갈애와 무명에서 생기는 번뇌심리를 극복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행복에 도달하고자 하는 것이 이고득락의 구조이다. 초기불교에서는 행복을 현세적 행복과 궁극적 행복으로 구분하는데, 전자는 자신의 삶에서 최선을 다하고 선업을 쌓아 봉사하면서 삼매로 몸과 마음의 평안함을 유지하는 것이목표이고, 후자는 통찰지로 열반에 이르러 윤회를 끊는 것이 목표이다. 초기불교에서는 기쁨 혹은 희열을 뜻하는 ‘삐띠(pitī)’, 즐거움을 의미하는 ‘수카(suka)’, 사무량심(四無量心)의 희(喜)인 ‘무디타(muditā)’, 그리고 선업의 결과인 ‘망갈라(maṅgala)’ 등 행복의 심리상태를 나타내는 다양한 개념들이 등장한다. 초기불교에서는 행복에 이르는 구체적 방법으로 교학과 수행의 체계를 37보리분법으로 제시하였다. 사마타[定, 몰입] 수행으로 심해탈(心解脫)을 이루어 삼매의 경지에서 느끼는 열락(悅樂)이 행복이다. 그러나 여기서 그치지 않고 위빠사나[觀, 통찰] 수행으로 통찰지에 의한 인식의 변화, 즉 혜해탈(慧解脫)을 통해 열반(涅槃)에 이르는행복을 추구한다. 정서의 평안함과 인식의 전환을 통해 나의 행복에 도달하고, 궁극적으로는 나를 넘어 자비의 세계에 이르고자 하는데 여기서 대승불교로 이어지는 가교로서의 특성이 드러난다. 오늘날 행복의 맥락은 초기불교의 그것과 달라져서 초기불교에서 제시한 행복의 경지에 이르기는 것이 결코 쉽지는 않지만 정진과수행의 노력으로 얼마든지 가능하다. 초기불교의 행복담론이 주관적 측면의 행복에 초점을 둠으로써 객관적 조건과 환경의 변화에 대한 인간의 주체적 역할을 소홀히 하였다는 점에서는 아쉬움이 남는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612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Meaning of Buddhist Nirvāṇa and Happiness. 하유진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6:283-308.
Chuang Tzu’s view of Xin(心), Xing(性), and the Real Man. 신순정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8:235-252.
A Status the samatha and vipassanā meditation in the early Abhidharma texts. 김준호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5:147-161.
Happiness, State and Politics in Hegel’s Philosophy of Law. 소병일 - 2020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2:129-150.
Wang Yangming’s Sim jeuk ri[心卽理]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 이우진 - 2016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0 (80):119-146.
The study on Wang Yangming’s Okyunguksul. 이우진 - 2016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86 (86):161-196.

Analytics

Added to PP
2016-06-30

Downloads
16 (#227,957)

6 months
4 (#1,635,958)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