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dam Jeong Sihan(愚潭 丁時翰)`s View on the Ido-seol(理到說)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0 (50):113-138 (2016)
  Copy   BIBTEX

Abstract

본 연구는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의 만년 학설인 이도설(理到說)에 대한 우담 정시한(愚潭 丁時翰, 1625∼1707)의 견해를 살펴봄으로써 퇴계 이도설에 대한 후대 학자들의 수용과 계승 및 발전의 양상을 이해하는 토대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퇴계 이후 이도설은 ‘물리도심(物理到心)’으로 이해되었고, 갈암 이현일(葛庵 李玄逸, 1627∼1704)은 이를 무위의 본체인 ‘리(理)’에 ‘저기서부터 여기로 이른다’는 방향성과 운동성을 부여하였다고 비판하였다. 반면 우담은 ‘물리도심’을 긍정하였고, 이를 ‘리’의 온전한 체(體)를 부여받아 만물의 용(用)을 아울러 갖춘 ‘심(心)’이 만물을 통섭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는 기존에 구축한 ‘리의 용(用)’에 대한 정치한 해석에 기반하여 ‘이도(理到)’를 ‘물아위일(物我爲一)’로 확장하였다. 이때의 ‘물아위일’은 단순한 융회관통의 차원이 아닌 ‘물리’가 질서정연해져 ‘심’ 속에 누가 되지 않는 경지가 된다. 우담의 견해는 ‘이도(理到)’의 서술어에 해당하는 ‘도(到)’ 자체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이를 ‘진(盡)’으로 대체하여 이도설이 가지고 있는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려 한 갈암과는 그 양상이 사뭇 다르다. 우담은 보다 본체론적인 측면에서 해석을 시도한 것이다. 우담의 견해는 퇴계가 구축한 ‘리’ 중심의 성리학 체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하나의 유용한 틀이 될 수 있다. 이는 우담의 리체용론이 퇴계학파의 사상 형성과 그 양상을 확인하는 데 중요한 이론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590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Study on Yi Hwang's Lihak formation background. 김지은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75-101.
南塘 韓元震의 人物性異論에 대한 硏究. 형려국 - 2008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6 (56):97-128.
尤庵 宋時烈 先生의 理學 硏究에 대한 一考察 - 年譜 연구의 중요성. 서대원 - 2008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8:155-178.
17세기 尤庵학단의 虛靈 개념 논변. 이선열 - 200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8 (58):7-46.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7

Downloads
5 (#847,061)

6 months
3 (#1,723,83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