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lectic of Enlightenment as Genealogical Critique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1:145-175 (2019)
  Copy   BIBTEX

Abstract

흔히 『계몽의 변증법』은 내재적 비판의 관점에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본 논문은 이 저작이 계보학적 비판으로 해석될 때 더 잘 이해될 수 있음을 입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 내재적 비판과 계보학적 비판의 관계를 규명할 것이다. 두 비판 형식은 완전히 이질적인 것이 아니며, 내재적 비판에 계보학적 단초가 이미 들어 있다는 점이 밝혀질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은 계보학적 비판을 보다 엄밀히 규정하기 위하여 니체의 방법론을 도입할 것이다. 이에 따라 『계몽의 변증법』은 세 가지 물음 하에서 분석될 것이다. 계몽은 어디에서 유래했는가 하는 물음, 계몽은 어떤 척도에 의해 비판되는가 하는 물음, 그리고 유래와 정당성 물음이 어떻게 결합되고 있는가 하는 물음이 그것이다. 이러한 탐구를 통하여 계몽 비판의 복잡한 담론 구조가 재구성될 것이며, 이로써 이 비판의 규범성이 해명될 수 있을 것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06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 Critical Examination of Liberal Eugenics. 목광수 - 2015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6:101.
Epistemic Duty and Commensurability. 이주한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8:51-74.
The Conditions of Happy Life in Hegel’s Critique of ‘Stoicism’. 소병일 - 2016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9:75.
Reification and a Formal Conception of Good Life. 정태창 - 2022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85 (85):3-33.
The Role of Reflection in Hume’s Political Philosophy. 김병재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1:27-54.
Nietzsche’s Moral Criticism and the Restoration of Natural Morality. 전경진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5:301-320.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5 (#1,561,562)

6 months
4 (#863,607)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