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ification and a Formal Conception of Good Life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85 (85):3-33 (2022)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은 좋은 삶의 영위를 위한 상호주관적 조건들의 총체라는 개념에 기초하여 물화를 재정식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다음의 두 가지 작업을 수행한다. 첫째, 물화 개념의 정립 및 재정식화 과정에서 일관되게 고수되어온 사회 비판의 토대로서의 이성 비판이라는 기본 구도가 물화 비판의 규범적 기초를 불분명하게 해온 근본 원인임을 보이는 것이다. 따라서 물화비판의 규범적 기초가 확립되려면 먼저 도구적 이성 비판과 결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입장이다. 둘째, 좋은 삶의 형식적 개념, 즉 ‘인륜성’을 물화 비판의 규범적 기초로 정립하는 것이다. 이렇게 재정식화된 물화 비판은 좋은 삶에 대한 특정한 내용적 관념을 옹호하지 않기 때문에 현대 사회의 다원주의와 충돌하지 않으면서도 좋은 삶의 영위 일반을 가능하게 하는 상호주관적 조건들의 훼손을 문제삼을 수 있게 된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12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Republican Public Philosophy and Good Life. 정태창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5:319-348.
Freedom for the Sake of the Good : Plotinus’ Concept of Freedom. 송유레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8:25-51.
Dialectic of Enlightenment as Genealogical Critique. 정진범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1:145-175.
Authenticity and narrative Ethics. 이상형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6:183-212.
The Conditions of Happy Life in Hegel’s Critique of ‘Stoicism’. 소병일 - 2016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9:75.
The Good Life According to Nature in Plato's Later Dialogues. 이기백 - 2016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4:1-24.
The Affinity as Presupposition of Freedom. 이병탁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8:93-118.

Analytics

Added to PP
2023-01-09

Downloads
8 (#1,345,183)

6 months
3 (#1,046,01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