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tics, Language and Mind in Early Chinese Legalist Idea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Shen Buhai with Han Feizi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1:213-237 (2017)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은 신불해와 한비자의 관계를 기존의 ‘술(術)’이나 ‘형명(形名)’이라는 전통적 이론틀 에서 벗어나 정치, 언어, 마음이라는 포괄적이고 현대적인 관점에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신불 해는 전기 법가로 평가되는 신도, 신불해, 상앙 중에서 ‘명(名)’의 중요성을 가장 강조한 철학자 이며, 정치는 언어에 의해 운용되는 행위임을 지적하였다. 한비자는 신불해의 관점을 적극적으 로 수용하며, 동시에 신불해가 언어의 기능을 과신했다고 비판한다. 한비자가 언어의 기능을 어 느 정도 불신하는 데에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때문이다. 의사소통은 기본적으로 언어라는 기호로 이루어지며, 상대방을 설득할 때 주요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상대방을 설득할 때 중요한 것은 기호에 대한 나의 해석을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해석을 알아맞히는 것이다. 그러나 상대방의 마음을 알아맞히는 것은 굉장히 힘든 일이다. 특히 첨예하게 이익이 대 립하는 군신 간의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은 더욱 힘들기 마련이다. 그리고 한비자는 언어라는 기호로 이루어진 정치적 규칙이 규범성을 가지는 이유는 강제적 인 제재에서 기인한다고 보았다. 다시 말하면, 한비자는 ‘언어의 규약성’과 ‘규약적 기호의 규범 성’은 별개라고 생각했다. 『한비자』 「정법」에서 한비자의 신불해에 대한 비판은 이런 맥락에 서 이해될 수 있다. 한나라 소후는 신불해의 조언대로 신하들에게 ‘술’을 쓰고 있었지만, 신하들 사이에서 법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패자(覇者)가 될 수 없었다. 왜 냐하면 신하들은 신법과 구법 중에 자신의 이익에 부합한 규칙을 따르고 있었기 때문이다. 한 비자는 신하들의 자의적인 법해석을 막는 방법은 강제적인 제재밖에 없다고 생각했다. 한비자는 법이라는 사회적 구성물이 저절로 규범적 효과를 가지지 못한다는 것을 인식했기 때문에 상앙 의 상벌 이론을 끌어와 신불해의 이론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2,953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Language Game of Private and Inner Sensation. 이재숭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4:337-357.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ultivation and Language in Han Confucianism. 양순자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173-193.
Rule-following and Triangulation. 이상룡 - 2016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6:57-82.
A study on the relation of knowledge and language in Kant’s Philosophy. 김영례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7:103-123.
The Language of Buddhism, the Language of Buddhist Counseling. 윤희조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1:239-261.
About Language Constitutes My World.이지중 ) - 2021 - Philosophical Practice and Counseling 11:99-120.
A Pragma-Dialectical Approach to Visual Argument. 박지희 - 2022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4:59-88.
Analyzing “Correct Naming(正名)” from the logic of Xun Zi. 김정희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9:221-238.
A Study on Nietzsche’s Language Concept. 남재민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7:85-105.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1 (#1,911,568)

6 months
1 (#1,514,069)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Sorry, there are not enough data points to plot this chart.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