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lash and Creation of the Term ‘Objective Reality’ in Kant’s Critique of Pure Reason : Suárez, Descartes and Kant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2:25 (2015)
  Copy   BIBTEX

Abstract

이 논문은 『순수이성비판』의 주요 개념 중 하나인 ‘객관적 실재성’ 개념의 의미를 철학사적 맥락에서 검토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객관적 실재성’이라는 전통적 개념을 칸트가 어떻게 수용하였는지 확인하는 동시에 『순수이성비판』의 체계 내에서 칸트가 ‘객관적 실재성’ 개념에 어떻게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였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 우리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철학사의 전통적인 용법에서 ‘객관적 실재성’ 개념은 ‘표상의 대상과의 관계맺음’으로 이해되지만, 이 때 대상은 주관 독립적인 실재로서의 대상이 아니라 주관내에서 지향된 대상을 의미한다. 둘째, 『순수이성비판』에서도 ‘객관적 실재성’개념은 마찬가지로 ‘표상의 대상과의 관계맺음’을 의미하지만, 전통적 용법과 달리 이 때 대상은 주관 독립적인 대상을 의미한다. 셋째, 이러한 ‘객관적 실재성’ 개념의 의미는 칸트의 경험적 실재론에 따른 것이며, 이는 칸트의 초월적 관념론의 궁극적 귀결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642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Problem of Logical and Logic Concepts in Hegel"s Philosophy. 이재성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7:159-183.
Kant’s Notion of Focus Imaginarius in the Dreams of a Spirit-Seer. 홍우람 - 2016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8:111.
Kant, Strawson, and the Second Analogy of Experience. 백승환 - 2020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2:107-127.
Theory-Theory and Compositionality Problem. 조영아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5:391-418.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5 (#847,061)

6 months
9 (#1,260,759)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