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axonomy of Values, Rules, Virtues for Moral Education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7):1-26 (2012)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은 도덕교육이 그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도덕교육의 목표로서 ‘도덕적 인간’이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그 구체화의 방법론으로서 각각 도덕적 가치, 도덕적 규칙, 도덕적 덕의 분류학을 제시한다. 도덕교육의 목표인 ‘도덕적 인간’의 구체화는 도덕교육의 내용으로서 ‘도덕’의 구체화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도덕’의 구체화는 그것의 존재론적, 인식론적, 실천론적 정당화의 근거가 되는 ‘도덕성’의 구체화를 통해서 이론적 지지를 받을 수 있다. 본 논문은 그 일련의 구체화 작업은 각각 도덕적 가치, 도덕적 규칙, 도덕적 덕의 분류학에 근거해서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도덕성’에 관한 현대 메타윤리학적 논쟁은 ‘도덕성’의 존재론적 지위에 관한 실재론 대 반실재론의 논쟁, ‘도덕성’의 인지적 특성에 관한 인지주의 대 비인지주의의 논쟁, ‘도덕성’의 행위 지침력 혹은 동기 유발력에 관한 내재주의 대 외재주의의 논쟁으로 나누어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메타윤리학적 논쟁이 각각 도덕적 가치, 도덕적 규칙, 도덕적 덕에 대한 논쟁으로 분화될 때 의미있는 결론이 도출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또한 관습주의, 이기주의, 쾌락주의, 공리주의, 의무론, 덕윤리 등 규범윤리학의 다양한 주장들 역시 도덕적 가치, 도덕적 규칙, 도덕적 덕으로 나누어 검토될 때 각각의 주장하는 ‘도덕’의 의미가 보다 분명해진다고 주장한다. 결국 ‘도덕성’과 ‘도덕’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들이 가치, 규칙, 덕의 분류학에 근거하여 그 의미가 보다 선명하게 제시되고, 그 결과물이 도덕교육의 목표인 ‘도덕적 인간’을 보다 구체화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면 도덕교육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06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Moral Hypocrisy and Moral Integrity - A Critique of the View of Daniel C. Batson -. 한곽희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437-458.
A Criticism of Immoralistic Interpretation of Nietzsche. 전경진 - 2016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7:23-52.
The Problems of AMA’s Moral Status. 이재숭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527-545.
The Real Problem of the Moral Twin Earth Argument. 전승태 - 2024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91 (91):147-180.
Error Theory, Fictionalism, and the Objectivity of Moral Institution. 윤화영 - 2017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3:103-128.
Ethical Behaviourism and the Moral Status of AI Robots. 김상득 - 2023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7:59-81.
Aristotle and R. M. Hare on Prescriptivism.Do-Hyoung Kim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6:129-143.
On the Moral Status of Disgust. 장대익 & 이민섭 - 2018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2:51-84.
Virtue and the Duty of Moral Perfection. 노영란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5:83-105.

Analytics

Added to PP
2016-06-30

Downloads
6 (#1,484,933)

6 months
2 (#1,259,626)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