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yesian Teaching Model of image Based on Image Recognition by Deep Learning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271-296 (2020)
  Copy   BIBTEX

Abstract

본고는 딥러닝의 이미지 인식 원리와 유아의 이미지 인식 원리를 종합하면서, 이미지-개념 학습을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모델, 즉 “베이지안 구조구성주의 교수학습모델”(Bayesian Structure-constructivist Teaching-learning Model: BSTM)을 제안한다. 달리 말하면, 기계학습 원리와 인간학습 원리를 비교함으로써 얻게 되는 시너지 효과를 바탕으로, 유아들의 이미지-개념 학습을 위한 새로운 교수 모델을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런 맥락에서 본고는 전체적으로 3가지 차원에서 논의된다. 첫째, 아동의 이미지 학습에 대한 역사적 중요 이론인 “대상 전체론적 가설”, “분류학적 가설”, “배타적 가설”, “기본 수준 범주 가설” 등을 역사 비판적 관점에서 검토한다. 둘째, 컴퓨터 공학에서 전개된 머신러닝의 이미지 학습 원리 및 그 구조의 역사적 변형들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분석하면서, 특히 딥러닝의 교육 인식론적 의미를 도출한다. 셋째, 선행하는 논의들을 토대로 이미지와 개념을 연결시키는 학습, 즉 단어학습을 위한 필자의 고유한 이론인 구조구성주의 개념교수모델을 제안한다. 이때 필자는 피아제의 명제논리학적 학습 가설, 즉 논리-수학적 구조를 중시하는 기존의 피아제 학파의 학습 가설과 최근의 베이지안 학습 이론에서 강조된 확률론적 추론 가설, 특히 “교육학적 추론 가설”을 동시에 포함할 수 있는 교수학습모델의 구조 및 주요 지향점들을 제안한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2,873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Bayesian model learning based on predictive entropy.Jukka Corander & Pekka Marttinen - 2006 - Journal of Logic, Language and Information 15 (1-2):5-20.
The role of Bayesian philosophy within Bayesian model selection.Jan Sprenger - 2013 - European Journal for Philosophy of Science 3 (1):101-114.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6 (#1,479,724)

6 months
5 (#702,332)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