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is the Community of Communication and Healing Possible? - Focusing on the model of Group Philosophical Counseling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2:215-236 (2017)
  Copy   BIBTEX

Abstract

이 논문에서 필자는 대화가 자기인식 및 자기이해에 기여한다는 존 하드윅의 논의에서 출발하여, 대화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자기이해를 돕는 소통과 치유의 공동체 모델을 탐구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집단철학상담의 대화공동체를 모델로 삼아, 진정한 대화와 소통은 치유공동체로 발전해 나가는 출발점이 된다는 것을 논의하고자 한다. 즉 진정한 대화는 단지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것이 아니라 자기이해와 자기인식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 나아가 자기이해를 증진시키는 대화공동체는 치유공동체로 발전해 나갈 수 있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여기서 소통과 치유는 별개의 독립적인 문제가 아니라 긴밀한 연관을 갖는다는 것이 드러날 것이다. 나아가 집단철학상담의 사례를 통해, 어떻게 한 공동체는 소통과 치유의 공동체로 발전해 나갈 수 있는지 그 조건들을 검토하고 논의할 것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2,953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Self-Knowledge, Dialogue, and Communes. 이선형 - 2017 - Korean Feminist Philosophy 28:87-119.
Forgiveness as Something We do. 이선형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8:75-96.
The Role of Reflection in Hume’s Political Philosophy. 김병재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1:27-54.
A Study on Application of wen-gu-zhi-xin(溫故知新) Program to Middle School. 윤영돈 & 한성구 - 2018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9 (59):455-480.
Habituation and Pleasure. 전헌상 - 2022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86 (86):37-68.
Rule-following and Triangulation. 이상룡 - 2016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6:57-82.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3 (#1,727,010)

6 months
2 (#1,258,417)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