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8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Education and the Principle of Political Education Model. 심승우, 함규진, 윤영돈 & 지준호 - 2017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4 (54):243-272.
    본 논문은 전통교육의 현대화에 부합하는 교육모델의 구성원리 및 민주적 시민성 강화를 위한 핵심역량 및 교육 방안을 적극 모색하였다. 궁극적으로 민주적 시민성 교육과 정치교육 프로그램의 취지에 부합하는 전통적 가치와 교육 내용, 방식 등을 추출하여 재구성하여 교육현장에 적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온고지신 교육체계의 구성과 운영 원리 및 주체의 역할, 수업 방식, 기대 효과 등을 체계적으로 검토하면서 전통교육의 현대화를 통해 덕스러운 민주시민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모델과 수업 모형의 원리를 구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동체적 덕성과 민주적인 시민성 함양을 위해 지금의 교육현실의 문제점을 지양하고 교육담론과 실천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6
    A Study on Application of wen-gu-zhi-xin(溫故知新) Program to Middle School. 윤영돈 & 한성구 - 2018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9 (59):455-480.
    우리 시대에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온고지신의 정신을 살려 전통을 재해석하고 재구성하되, 학교급별 학생의 발달 수준에 맞게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현장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 함양 및 유덕한 시민으로서 공동체 역량 제고를 위한 온고지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성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논의순서는 다음과 같다. 오늘날 인성교육의 유의미한 주제로 정신건강, 특히 회복탄력성 증진이 중요한 교육목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먼저 논구하고,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온고지신 프로그램 개발방향을 제시하며, 동 프로그램의 구성과 실행계획 및 현장적용(중학교)을 통한 그 효과성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5
    Christian Views on Nature and the Problem of Man’s Responsibility in Genesis. 윤영돈 & 최순옥 - 2017 - Environmental Philosophy 24 (24):183-204.
    본고는 창세기에 나타난 자연과 인간의 관계, 창조세계에서 인간의 위상과 책임의 문제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창세기 1장 28절 ‘카바쉬’와 ‘라다’의 재해석을 통해 자연에 대한 전제주의(강한 인간중심주의)로부터 대안적인 그리스도교적 자연관(청지기 모델)으로 전환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했다. 창세기 1장 28절 카바쉬와 라다의 재해석을 위해서 문서가설에 따른 인간 창조 기사의 사회적 문맥을 살피고, 카바쉬와 라다의 주체로서 인간이 지닌 신적 형상의 의미를 규명하며, 창세기 1장 31절의 평가적 관용구(“심히 좋았더라”)의 의미를 논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자연에 대한 지배자이자 정복자라는 기존 구도로부터 자연을 돌보는 청지기로의 전환을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2
    Humanities Therapeutic Approach to the Reconstruction of Korean Values. 윤영돈 & 유병열 - 2014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4):1-38.
    본 연구는 한국인의 삶과 행동을 이끌고 규정하는 한국인의 가치관과 한국적 가치의 탐구에서 출발했다. 이를 위해 통시적 관점에 근거한 한국의 전통가치와 미래 한국사회에 요구되는 미래 지향적 가치를 살펴보고, 양자 간의 소통과 융합의 맥락에서 한국적인 핵심 가치의 일부를 재구성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방법론으로 인문치료적 접근을 원용하였는데, 이는 한국적 가치의 원형과 변용(변형), 더 나아가 왜곡된 지점을 확인하고 미래지향적인 전망 속에서 한국적 가치를 재구성하는 데 친화력이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 일심(一心)을 한국적 가치의 원형 중 하나로, 화(和)와 효(孝)와 충(忠)을 한국적 가치의 재정립 사례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