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pistemic Role of Visual Phenomenology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5:123-147 (2021)
  Copy   BIBTEX

Abstract

우리는 일상의 다양한 사물들을 시각 경험을 통해 어렵지 않게 구분하고 판단한다. 이러한 시각경험의 인식론적 역할은 시각 경험이 가지는 고유한 현상적 특질을 통해서도 쉽게 설명된다. 레몬을 시각적으로 경험할 때와 라임을 시각적으로 경험할 때의 현상적 차이 때문에 우리는 그것들을 쉽게 구분할 수 있는 것이 그 예다. 하지만 최근 알렉스 번과 데이비드 소사에 의해 시각 경험의 현상적 특질은 우리가 외부세계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그 어떠한 인식론적 역할도 수행하지 못한다는 주장이 각기 제기되었다. 나는 이들의 주장이 현상적 특질의 본질에 대한 특정 이론에만 의존하고 있음을 보이고, 현상적 특질에 대한 외재주의적 관점에서 외부세계에 대한 시각경험의 인식론적 역할을 증명하고자 한다. 오직 외재주의적 관점에서 현상적 특질을 이해했을 때에만 시각경험의 인식론적 역할에 대한 우리의 상식적 판단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296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6 (#1,485,580)

6 months
5 (#710,311)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