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6
    A Defense of Phenomenal Conservatism as an Internalist Theory of Epistemic Justification. 하종호 - 2017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1:171-188.
    휴머가 직접적 실재론에 근거해서 구축한 현상적 보수주의가 기존의 내재주의 이론들에 대한 대안으로서 입지를 확보할 수 있느냐는 문제에 대해 버그만은 부정적인 논거를 제시했다. 이 논문의 목적은 버그만의 비판적 논거가 타당한지를 확인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1절에서 현상적 보수주의의 기본적인 논지를 개관하고, 2절에서는 버그만의 비판적 논거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겠다. 3절에서는 버그만의 논거를 반박함으로써 내재주의적 정당화 이론으로서의 현상적 보수주의가 건재할 수 있음을 보인 후, 4절에서 전반적인 논점을 추리고 글을 맺겠다.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4
    Conceptuality of Perceptual Content and Epistemic Justification. 하종호 - 2019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4:1-23.
    이 논문의 목적은 벵슨과 그루브와 코먼(이하 ‘벵그코’로 약칭)의 새로운 개념주의가 로스키스의 비개념주의적 관점과 배타적인 이론이라고 볼 수 있는지를 검토한 후, 개념주의와 비개념주의 간의 논쟁이 인식적 정당화와 관련해서 층위(層位)가 다른 심적 상태들을 동일한 층위에서 논의하는 오류에 근거해 있음을 보이는 데에 있다. 즉 그 두 관점의 대립이 해소될 수 있음을 보이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분명히 드러내기 위해서는 종래의 인식적 정당화 개념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지적될 것이다. 이를 위해 1절에서는 벵그코의 개념주의 옹호론에 대해서, 2절에서는 로스키스의 비개념주의적 논거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3절에서는 인식적 정당화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7
    Skeptical Theism and Phenomenal Conservatism on the Problem of Evil. 하종호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9:323-342.
    이 논문의 목적은 악의 문제에 관한 전통적인 신정론의 논변에 대항해서 새롭게 제시되었던 로우의 무신론적 논변과 이를 비판한 회의적 유신론의 논변을 비교한 후, 이 논쟁에 현상적 보수주의를 도입해서 로우의 무신론을 옹호하려고 했던 시도가 타당한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절에서는 로우가 필요악에 근거한 전통적 신정론의 논변을 어떻게 반박하는지 살펴보고, 2절에서는 이에 대항하는 회의적 유신론의 논변을 검토하겠다. 3절에서는 현상적 보수주의가 로우의 무신론적 논변과 회의적 유신론 간의 논쟁에서 로우의 논변을 옹호해 줄 수 있다는 도우어티의 주장을 살펴보겠다. 이어서 도우어티의 관점은 현상적 보수주의를 부정확하게 이해한 데에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