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eval Female-Doctor Hildegard: was she a natural therapist, or a magician?

Korean Feminist Philosophy 34:35-66 (2020)
  Copy   BIBTEX

Abstract

힐데가르트의 의학적 사상은 중세시대 많은 공헌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으며, 특히 그 당시 그리스도교라는 전통 안에서 잊혀질 수 있었던 여성의 역할을 복원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 그녀가 생존했던 중세시대 특성상 여성성의 발견이나 여성의 권리와 역할 확대 등에 관해 직접적으로 다루지는 않았지만, 남성과 여성을 지배와 피지배 관계가 아닌 상호 협력해야 하는 관계로 규정했다는 점에서 여성학자로 규정될 수 있다. 중세시대 여성 활동이 극히 제한적으로 허용되던 당시, 사회적 편견을 극복하고 여성의 역할을 확장시킨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무엇보다 중세시대에 여성이 의료인으로 참여한다는 것은 어려운 상황이었음에도 여성 신비가이자 수녀원장으로서 영성치유와 자연치료의 선구자 역할을 했다고 생각된다. 그렇다면 힐데가르트는 자연치료사인가, 아니면 주술사인가. 이 글은 자연치료사로서 힐데가르트를 소개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그 과정에서 중세 대체의학의 선구자로서 힐데가르트가 규정될 것이다. 그렇다면 대체의학을 우리는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가. 대체의학의 의미를 ①우리가 단순히 약물, 외과수술 또는 질환의 치료를 위해 정통적이며 의학적인 절차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 ②건강과 치유에 대한 접근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 ③인문학적 전통인 신과 연관된 의학이라는 의미로 인간의 심리적이며 영적 건강과 질병에 관심을 지니고 있다는 것에서 규정된다면, 힐데가르트의 자연치료법은 대체의학 범주에 포함 된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힐데가르트의 그것에서 치유란 하느님이 인간에게 준 본래의 힘을 회복하면 얻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규정되기 때문이며, 그런 한에서 그녀의 자연치료법은 창조 신학과 우주 철학, 전인적 인간론과 심리학 등과 결부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힐데가르트에게 치유란, 인간과 피조물 간에 연관성, 즉 인간의 영혼과 육체가 조화로운 일치를 추구함과 동시에 인간의 영혼과 육체가 자연현상과 상호 유기적인 연관성을 지니며 그리스도를 따르는 하나의 방식이라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힐데가르트의 치유는 신학을 토대로 자연과 인간의 상호 유기적 연관성을 중요시하는 대체의학일 수 있으며, 또한 인간의 질병을 체액이론으로서 자연치료법과 연결시킨 영성치유의 사례라 할 수 있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774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Wilson's Ecological Thinking - Biophilia and Universal Conservation Ethics -. 윤진각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6:217-228.
Can Novels Lie? 김한승 - 2022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2:87-108.
A study on the relation of knowledge and language in Kant’s Philosophy. 김영례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7:103-123.
About Language Constitutes My World.이지중 ) - 2021 - Philosophical Practice and Counseling 11:99-120.
Mourning and Forgiveness of the Death. 공병혜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2:23-45.
Humanistic Exploration of Metaverse Technology. 김세욱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2:93-113.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6 (#711,559)

6 months
5 (#1,552,25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