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enomenological Social Engineering: A Practical Possibility of Husserl’s Phenomenology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100:103-121 (2024)
  Copy   BIBTEX

Abstract

말년의 후설은 유럽이 위기에 빠졌으며 그 위기의 뿌리는 학문의 위기이자 이성의 위기라고 진단한다. 이 논문은 후설의 이러한 문제의식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는 판단으로부터 출발한다. 19세기 말엽 이후 확산된 지적 경향, 즉 절대적인 진리에 대한 거부, 혹은 반형이상학적 상대주의는 실제 현실에서 극단적인 의견의 대립을 유발하는 파생효과를 낳았다. 오늘날 공감과 연대가 다양한 사회적 갈등의 해법으로 제시되는 까닭이기도 하다. 이 논문은 포퍼의 방법론을 참조하여 후설의 현상학적 방법론이 인식론적이고 이론적인 논의를 넘어 사회적이고 실천적인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우리는 이를 현상학적 사회공학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절대적인 진리를 주장하는 낡은 형이상학으로 되돌아가자는 것이 아니라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이성에 대한 신뢰를 포기하지 않는 절차적 방법론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77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venaz’s Phenomenology and the Problem of Fundamental Starting Point. 이철우 - 2018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79:31-58.
A Critical Examination of Husserl’s Thoughts on Europe Focusing on Crisis. 김정현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109-140.
Economy, Other and Third Person: about the Levinassian Thought of the Life. 김헌중 - 2022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95:93-120.

Analytics

Added to PP
2024-04-15

Downloads
8 (#1,335,493)

6 months
8 (#507,683)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