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6
    General Justice and Par ticular Justice - A Study on Aristotle’s Conception of Justice -. 이창우 - 2020 - The Catholic Philosophy 34:41-72.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론에 대한 연구 및 소개는 니코마코스윤 리학 5권 2∼4장의 특수한 정의(산술적 동등성, 기하학적 동등 성)에 집중되어 있다. 대부분의 주석가들은 1장에서 언명되는 일반 적 정의(전체적 정의)에 대해 별 관심이 없거나 그 지위를 평가절 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들이 보기에는 일반적 정의는 5권 1 장과 2장 초반부에 나타났다가 갑자기 실종되는 개념이다. 나는 이 런 독해를 교정하고자 한다. 기존의 주석가들 대부분은 1장과 2장 의 관계를 너무 ‘편안한’ 자세로 읽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들은 일반적 정의가 가지는 덕으로서의 기능과 의미에 관해 별로 주목 하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5
    Good Life and the Role of Philosophy for the Common People: Aristotle, Epicurus and the Stoics. 이창우 - 2020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1:31-54.
    이 논문은 ‘세 가지 유파의 철학자들(아리스토텔레스, 에피쿠로스, 스토아)은 대중을 상대로 하는 자신의 역할을 어떻게 이해했는가?’라는 질문을 탐구 질문으로 삼는다.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을 이끄는 키워드는 ‘좋은 삶’이다. 이들 철학자들이 볼 때 철학자가 해야 할 역할은 ‘좋은 삶’이 무엇인지 혹은 왜 중요한지를 대중들에게 밝혀주고 이들이 좋은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여기까지 이들은 목표를 공유한다. 하지만 대중들을 위한 좋은 삶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고 좋은 삶을 살도록 도와주는 방법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가라는 질문에로 들어가게 되면, 이들은 각자 다른 답변을 제시한다. 그리고 좋은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7
    Happiness and Goods: Vlastos’ Socrates, Aristotle and the Stoics. 이창우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9:211-235.
    블라스토스는 영향력 있는 한 논문에서, 소크라테스가 행복과 좋은 것들의 관계 문제를 어떻게 생각했을 법한지를 분석하고, 이 분석의 함축적 귀결로서, 스토아화된 소크라테스의 모습을 폐기처분한다. 스토아화된 소크라테스는 텍스트 근거가 없다는 것이다. 블라스토스의 주장은, 덕과 행복의 관계에 대한 충분 논제로 집약된다. 나는 이 글에서 우선 블라스토스의 충분 논제를 분석, 논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스토아적 소크라테스 독해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나는 방어할 것이다. 블라스토스 논박은, ‘행복’, ‘덕’, ‘관례적 선’ 사이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해명문제에로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이 문제에 대한 나의 검토는 아리스토텔레스와 스토아의 비교를 통해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