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Origins of Kant’s Virtue Theory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8:29-47 (2017)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은 칸트 도덕철학의 최후 저술인 『도덕형이상학-덕론의 형이상학적 기초원리』(=『덕론』)의 연원을 체계적으로 추적한 시도이다. 이러한 시도는 칸트 도덕철학에서 『덕론』의 실질적 역할을 밝혀 형식주의 비판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그동안 제기된 칸트 도덕철학에 대한 많은 비판 중에서 형식주의에 대한 비판은 관점을 달리하며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현대에 이르러 영미권을 중심으로 현대 덕윤리가 부상하면서 행위자 부재를 문제 삼는 형식주의 비판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칸트의 『덕론』은 형식뿐만 아니라 도덕적 행위자와 행위의 목적과 같은 실질이 중심적으로 다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덕론』이 비판기의 저술보다 부차적으로 다뤄지는 것은 대부분의 칸트 연구자들이 비판기를 중심으로 연구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 방식에서 탈피하여 『덕론』이 비판기 이전부터 기획되어 비판기를 관통하여 완성된 체계임을 보인다. 이를 통해 칸트 도덕철학의 외연을 넓게 파악함으로써 소모적 형식주의 비판을 넘어 칸트가 의도한 도덕철학의 체계를 볼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642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Kant on Practical Reason and Action.오창환 ) - 2023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68:33-64.
칸트의 1770년대 도덕철학에서 판정원리와 실행원리. 오창환 - 2021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8:31-54.
Hegelian Transfiguration of Taste’s Antinomy. 서정혁 - 2017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0:75-98.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0

6 months
0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Sorry, there are not enough data points to plot this chart.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