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cular and Religious Aspects of Kant’s Ethics - An Exposition through Kant’s Lectures on Ethics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7:53-77 (2018)
  Copy   BIBTEX

Abstract

칸트 윤리학에서 도덕이 종교를 필요로 하는지에 대해서 크게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첫째 해석은 칸트가 『도덕형이상학 기초놓기』나 『실천이성비판』과 같은 자신의 윤리학 저술에서 윤리학의 토대를 신이 아니라 인간 이성의 자율성에서 발견한 것을 근거로 칸트 윤리학을 세속적인 비종교적 윤리학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칸트 윤리학에 대한 다른 해석은 칸트가 『실천이성비판』 변증론에서 최고선의 실현 가능성 문제를 다루면서 최고선의 현세적 실현을 주장하는 에피쿠로스학파와 스토아학파의 윤리학을 비판하는 한편, 최고선의 내세적 실현을 주장하는 기독교 윤리학을 옹호하고 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칸트 윤리학을 종교적 윤리학으로 이해한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 많이 다루어지지는 않았지만 칸트 윤리학 연구를 위해 중요한 자료인 칸트의 『윤리학 강의』를 이용하여 칸트 윤리학 해석을 둘러싼 이 논란을 해결하려고 시도하였다. 자신의 다른 윤리학 저술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칸트는 『윤리학 강의』에서 무엇이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인지를 알기 위해서 신에 의존할 필요가 없음을 강조한다. 그러나 『윤리학 강의』에서 칸트는 도덕이 하나의 관념에 머무르지 않고 구속력을 갖기 위해서는, 도덕적 행위를 통해서 행복할 자격을 갖춘 사람이 실제로 행복을 희망할 수 있게 해주는 존재인 신에 대한 믿음이 필수적임을 동시에 강조한다. 우리가 칸트 윤리학을 이해할 때 도덕법의 근거가 신이 아니라 인간이성이라는 사실에만 초점을 맞춘다면 칸트 윤리학을 인간 중심의 세속적 윤리학으로 보는 것은 타당하다. 하지만 이러한 이해는 칸트 윤리학의 전체 모습이 아니라 일부만을 반영한 것임을 『윤리학 강의』를 통해 알 수 있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77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칸트의 1770년대 도덕철학에서 판정원리와 실행원리. 오창환 - 2021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8:31-54.
Study on the Origins of Kant’s Virtue Theory. 이원석 & 김태경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8:29-47.
What may I hope? - Postulate of the highest Good. 최소인 & 정제기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7:467-488.
Artificial Intelligence and Kant’s View of Person. 박경남 - 2023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6:171-210.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8 (#1,332,410)

6 months
7 (#592,867)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